해상도시(분수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인공섬은 본래 공해상에 만들어진 비행장·어장시설·대륙붕개발시설 따위의 구축물을 뜻한다. 과학의 발달과 함께 여러나라가 인공섬개발에 박차를 가해왔으나 국제법상의 영역문제는 아직 해결되지 않고 있다.
다만 58년 유엔해양법회의는 「대륙붕에 관한 협약」을 채택,인공섬은 연안국의 관할하에 둘 수는 있으나 자체의 부속 영해는 가질 수 없다는 등의 국제법상 규정을 마련했을 따름이다.
그같은 목적의 인공섬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여러나라들이 건설의 눈독을 들이고 있는 것이 해상도시다. 항구도시 연안의 영해상에 섬을 만들어 인구분산·주택난해소에 도움이 되도록 한다는 것이다.
일본은 이미 고베항 앞바다에 거대한 해상도시를 개발했으며 동경만에 이보다 큰규모의 해상도시를 2000년대 초까지는 완공하겠다는 야심찬 계획을 진행시켜가고 있다.
해상도시의 가장 큰 이점은 자연에너지를 얼마든지 얻어쓸 수 있다는 점이다. 태양광발전·해수온도차발전·파력발전 같은 것 등이다.
그 가운데서도 파력에너지는 높이 2m의 파도에서 해안 1m당 24㎾의 에너지를 얻을 수 있어 쓰고 남는 에너지를 송전망을 통해 육지에까지 보낼 수 있다는 것이다. 파력에너지의 자원화에 일찍부터 주목한 나라는 영국이었으나 실제로 사용하기 시작한 나라는 일본이다.
이같은 이점 외에도 해상도시는 해상공항건설과 고속의 수상교통시스팀 구축등 교통에도 최적이라는 평가다. 그래서 주거용은 물론 업무·레저용으로도 크게 한몫 하리라는 것이다.
그러나 그같은 이점들에도 불구하고 해상도시 건설에 많은 문제가 뒤따르는 것은 유류오염문제라든가,수질보호대책등 환경보호문제가 필연적으로 제기되기 때문이다.
이미 여러해 전부터 인천 앞바다를 비롯,주요 임해지역에 해상도시를 건설한다는 구상을 세워놓고도 막상 실행에 옮기지 못하고 있는 것도 자원염출문제와 함께 환경영향문제가 쉽사리 해결되지 못해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최초의 해양도시가 2003년까지 부산 앞바다에 세워진다는 소식이다. 경기도 오이도 앞바다에도 추진중이다. 두군데 모두 각기 1백90여만평 규모다. 2백50여만평의 여의도보다는 다소 작지만 만약 이들 해양도시가 건설되면 주택난해소는 물론 명소로 각광받을 것이다. 하지만 「꿈의 도시」가 아니라 「환경오염의 도시」로 불리지 않기 위해서는 결코 서둘러서는 안된다.<정규웅 논설위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