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군수 물자 덜 산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9면

2001년 9.11 테러 이후 큰 폭으로 늘기만 하던 미 국방부의 군수장비 발주액 증가율이 둔화됐다고 AP통신이 20일 세계정책연구소(WPI) 보고서를 인용, 보도했다.

뉴욕 소재 싱크탱크인 WPI는 이라크전쟁 4주년을 맞아 발표한 보고서에서 2001년 이후 매년 연속 두 자릿수를 기록했던 미 국방부의 계약 증가율이 지난해엔 한 자릿수인 8.7%에 머물렀다고 밝혔다. 2005년 2692억 달러(약 252조원)였던 국방비 발주액이 2006년엔 2949억 달러로 늘어나는 데 그친 것이다.

국방부 발주액 증가율은 2002년엔 18.1%, 2003년엔 22.3%, 2004년엔 10.5%, 2005년엔 16.7%를 기록했다. 9.11 테러 이후 매년 큰 폭으로 방위비가 증가해 온 것이다.

이 같은 증가율 둔화는 이라크 주둔군을 포함한 미군의 인력, 작전과 유지 보수 비용에 너무 많은 비용이 들어가 새로운 연구개발(R&D) 프로젝트와 무기 체계에 돈을 쓸 여지가 줄었기 때문이라고 WPI는 분석했다.

또 다른 싱크탱크인 렉싱턴 연구소의 국방전문가 로렌 톰슨은 이에 대해 "조지 W 부시 행정부가 앞으로 군비 지출을 일정 규모 이하로 억제하려면 새로운 무기 체계 개발에 들어갈 돈을 기존의 군사력 유지로 돌려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미국의 10대 방산 업체는 여전히 호황을 누리고 있다. WPI 보고서에 의하면 지난해 가장 재미를 본 방위산업체는 록히드 마틴이었다. 이 회사는 266억 달러(약 24조9000억원)어치의 계약액을 따내 전년의 194억 달러(약 18조2000억원)보다 무려 60%나 늘었다.

노스롭 그루먼도 전년 대비 20% 늘어난 166억 달러(약 15조5000억원)를 수주했다. 보잉은 11% 가까이 늘어난 203억 달러(약 19조원)의 계약을 따냈다.

딕 체니 부통령이 한때 경영을 맡았던 방산업체 핼리버튼도 계약 액수는 전년에 비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지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