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린쿼터 놓고 극장주-영화인 갈등|≪방화상영일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3면

스크린쿼터 축소문제로 영화인들의 집단항의가 계속돼 큰 문제로 번질 조짐을 보이고 있다.
스크린쿼터제란 전국 소재 극장은 연간 1백46일 이상 한국영화를 의무적으로 상영토록 규정한 한국영화 보호정책의 하나.
1백46일중 20일은 문화부장관 재량으로 줄일 수 있는데 이 재량권 행사를 하지 마라, 하라며 영화인과 극장연이 문화부를 닦달하고 있다.
극장연은 극장 경영 채산악화등의 이유를 들어 20일을 줄여달라는 입장이고 반면 영화인들은 한국영화보호, 자신들의 생존권 확보차원에서 줄여서는 안 된다는 입장이다.
이 틈에 낀 문화부는 엉거주춤한 상태로 타개착을 찾고 있으나 뾰족한 수가 없는 형편이다.
그렇지만 문화부는 극장연의 강력한 요청을 거듭 받고 극장 편으로 돌아서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앞서 극장연은 「스크린쿼터 축소가 안되면 내년도 문예진흥기금 모금을 않겠다」는 결의문을 문화부에 제출했다.
극장 입장요금에 포함돼 매년 80억원가량 걷히는 문예진흥기금은 그중 50억원쯤이 영화진흥공사로 보내져 공사운영·영화제작 지원·기자재보조등으로 쓰인다.
올해 문화부장관의 스크린쿼터 축소 재량권이 더욱 문제가 되고 있는 이유는 이어령 장관이 『올해가 「영화·연극의 해」이기 때문에 올해만큼은 스크린쿼타를 줄이지 않겠다』고 영화인들에게 수차례 공언했기 때문이다.
영화인들은 『명색이 「영화의 해」라고 정해놓고 이런저런 행사를 하다 정작 한국영화보호장치중 가장 효과적 정책인 스크린쿼터를 줄여 외화 상영기간을 늘려주면 이것은 이 장관의 영화인에 대한 일종의 기만행위와 다름없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문화부가 아직 확실한 결정을 내리지는 않고 있으나 극장측 주장으로 기울고 있다는 소문을 들은 유동훈(영화인협회이사장)·김호선(감독위위원장)·정일성(촬영감독)씨등은 15일 문화부로 가 장관면담을 요청한데 이어 16일엔 30여명이 다시 문화부로 가 해명을 요구했으나 이 장관이 국회에 출석, 만나지 못했다.<이훤익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