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과 후 학교 자유수강권 올해 30만 명에 지급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2면

아버지와 단둘이 사는 경환이(가명.서울 구로구 Y중 2)는 수학 실력이 달린다. 학원에 다니고 싶지만 형편이 어려워 엄두도 못 낸다. 지난해에는 '방과 후 학교'에서 수학을 배우고 싶었지만 선생님이 인원이 모자란다며 임의로 '풍물난타반'에 넣는 바람에 기회를 놓쳤다. 하지만 이달 중순부터는 방과 후 학교에서 수학 실력을 쌓을 수 있게 됐다. 학교에서 나눠주는 자유수강권(바우처.일종의 쿠폰)을 갖고 원하는 프로그램을 선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시지역 저소득층 초.중.고생을 대상으로 한 방과 후 학교 자유수강권 지급이 본격화된다. 교육인적자원부는 지난해 10월부터 석 달간 9만 명에게 시범 지급했던 자유수강권을 올해는 30만 명에게 지원할 계획이라고 6일 밝혔다. 자유수강권은 1인당 월 3만원씩 연간 30만원 범위 내에서 10개월간 지급한다.

학생들은 방과 후 학교의 논술.국어.영어.수학 등 교과목이나 음악.미술.체육 등 특기적성 프로그램을 자유롭게 선택하면 된다. 현재 개별 프로그램 수강료는 월 1만5000원~5만원 선이다. 따라서 최대 두 과목을 들을 수도 있다. 하지만 자유수강권을 받더라도 월 10만원이 넘는 원어민 교사 영어교실 등 일부 프로그램은 저소득층 학생들이 수강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농어촌지역 방과 후 학교는 지난해 19곳(읍.면.동)에 이어 올해는 88곳을 지원한다. 학교에 시설비, 프로그램 운영비, 강사비 등을 지원한다. 프로그램 수가 적어 학생들에게는 자유수강권 대신 무료 혜택을 준다.

교육부는 저소득층 과외 지원 사업인 '대학생 멘토링'도 40개 지역에서 실시할 방침이다. 지난해에는 서울대생 300명이 서울 관악.동작구에서만 진행했다. 대학생들은 4월 말 활동을 시작한다.

자유수강권 지급, 대학생 멘토링 사업 지원 등 올해 방과 후 학교 총예산은 2200억원(지방비 포함)으로 두 배 정도 늘어났다.

교육부 배상훈 방과후학교팀장은 "현직 교사 참여를 권장하기 위해 업무 경감 등의 인센티브 부여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양영유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