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정책 잘못됐다” 88%/창간 26돌기념 국민의식 조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6공들어 잘한일은 남북관계/57% 기여입학제 반대
우리 국민들은 정부의 물가정책에 대해 가장 큰 불만을 갖고 있으며 정부가 이 문제해결에 가장 역점을 둬야할 것이라는 견해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일보가 창간 26주년을 맞아 전국의 성인남녀 1천8백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국민의식조사에 따르면 남북문제·언론·물가·부동산 등 정부의 12개분야 정책수행에 대한 평가를 물은 결과 응답자의 87.6%가 물가정책을 잘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국민들은 따라서 가장 우선적으로 물가문제를 해결해야 한다(54.1%)고 지적하고 향후5년간 역점을 두어야할 경제정책중에서도 물가(52.1%)를 꼽아 이 문제가 가장 시급하고도 절실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정치문제에 대해 국민의 대다수는 지지하는 정당이 없으며(57.1%) 호감가는 정계인사도 없고(42.0%) 현시국을 불안하게(58.4%) 느끼고 있다.
지지하는 정당이 있고(42.5%) 호감가는 정계인사를 가지고(36.7%) 현시국을 안정적인(15.2%) 것으로 보고 있는 국민은 상대적으로 소수다.
정당과 정치인에 대한 불신은 특히 두드러져 가장 높은 지지를 받은 민자당이 고작 16.7%,김대중씨가 7.1%로 1위를 기록했지만 김씨는 지난해의 10.3%보다 3.2%포인트가 떨어졌다.
정치자금에 대해서는 55.1%의 국민이 전면공개를 32.7%가 정치권이 위축되지 않는 범위내의 공개를 바라고 있어 정치자금의 조달과 사용에 대해 의혹과 불신을 가진 국민이 87.8%에 이르고 있음을 나타냈다.
이같은 정치불신을 바탕으로 국민의 70%는 정치권의 세대교체가 필요하다고 보고 있으나 세대교체가 현실적으로 가능하리라고 믿는 국민은 25.1%에 지나지 않아 현실뿐 아니라 장래의 정치에 대해서도 비관적인 전망을 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정부의 각종 정책수행에 대해 12개 항목에 걸친 평가를 물은 결과 잘하고 있다는 응답률이 못하고 있다는 응답보다 높은 것은 남북관계(34.1%대 16.6%) 뿐이었고 나머지는 모두 잘못하고 있다는 평가쪽이 더 높았다.
국민들은 그러나 남북관계에 대해서는 매우 밝은 전망을 해 56.7%가 남북관계가 더 좋아졌다고 느끼고 있으며,53.6%가 앞으로 10년 전후한 기간내에 통일이 되리라고 예상했다.
이같은 인식은 주한미군 주둔문제에서도 나타나 남북이 대치하는 한 철수해서는 안된다는 응답은 88년 44.7%에서 지난해 35.7%,올해 33.6%로 해마다 줄어들었다.
토지초과이득세나 택지소유상한법 등 토지공개념 정책에 대해서는 더우 강화시켜야 된다는 응답이 과반수인 52.4%에 달해 주택난과 부동산 가격앙등에 대한 국민의 불만이 높음을 나타냈다.
사회적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는 대학 기부금입학제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56.7%가 반대한 반면 찬성은 13.5%에 불과해 기부금 입학제도입이 아직은 시기상조임을 보여줬다.<상보 11∼13면>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