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첫 교육감 직선제 투표 참여 높여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4면

내일 부산에선 시민들이 부산 교육감을 직접 뽑는 투표가 실시된다. 지난해 말 지방교육자치법이 개정돼 교육감 직선제가 도입된 이후 처음 실시되는 투표다. 그러나 시민들의 관심이 매우 낮다고 한다. 지난해 지방선거의 뜨거운 열기에 비하면 매우 냉랭해 후보들은 '무관심과 싸운다'고 말할 정도다. 이래서야 직선제 도입 취지가 무색해 질 수밖에 없다.

교육감은 고등교육을 제외한 유치원.초.중.고.평생교육을 책임지는 막중한 자리다. 학군 조정, 학교 신설, 교원 인사, 평준화 실시 여부 등 굵직한 교육계 현안들이 교육감에 의해 좌우된다. 그런데 소수의 학교운영위원들이 교육감을 선출하다 보니, 교육 수요자들은 무관심하고 교육계에는 파벌 싸움 등 부작용이 많았다. 당선 후 금품수수 등이 적발돼 구속된 교육감들도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직선제로 바꾼 것이다.

이런데도 투표 이유조차 모르는 부산 시민들이 적지 않다고 한다. 교육감의 중요성에 대한 홍보가 부족했다, 후보들의 지명도가 낮다, 선거공약이 빈약하다, 설날 연휴 직전이다, 임시 공휴일이 아니다 등등 여러 이유가 있다. 그렇다 해도 시민들은 투표에 적극 참여해야 한다. 정부는 투표율을 높이기 위해 2010년부터 16개 시.도 교육감 선거를 지방선거와 동시에 실시할 예정이라지만, 그 전에는 지방 교육에 참여할 권리를 포기할 것인가.

교육은 백년대계(百年大計)다. 그래서 정부나 교육계에만 맡겨둘 일이 아니다. 국민 모두가 적극 나서야 한다. 그것은 권리이자 의무다. 자녀 교육에는 열심이면서, 정작 교육감 선거는 외면하면 말이 되는가. 투표를 포기하면 나중에 교육정책을 논할 자격도 없다. 낮은 투표율로 당선된 교육감이 잘할지도 의문이다. 부산 시민들은 후보들을 철저하게 검증하고, 내일 투표장으로 향하길 바란다. 그것이 다른 지역에서 실시될 교육감 선거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우리 지방교육의 경쟁력을 높이는 길이다. 국민에게 외면당한 교육은 경쟁력이 없다는 것을 명심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