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시위 “민주개혁 지연이 주인”/서방 언론들 분석보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중산층 참여안해 큰 성과 못거둬
강경대군 치사사건으로 야기된 한국의 위기에 서방언론들이 지금까지 보인 가장 큰 관심은 이번 학생시위에 대한 국민,특히 중산층의 지지여부에 있었다.
많은 서방언론들은 기자들을 서울에 특파,강군 사망에서 노재봉 총리가 사퇴하기까지 상황을 자세히 보도했다.
미국을 비롯한 서방언론들이 이번 한국사태 보도과정에서 가장 집중적으로 보도한 부분은 학생시위에 중산층과 전문직업인들의 동조참여 여부였다.
이들 신문은 이번 한국학생 시위는 이들 계층의 적극적 참여결여로 실패했다고 분석했다.
이같은 실패의 가장 큰 요인은 4년전 상황과 현상황의 차이에 있는 것으로 서방신문들은 지적했다.
이들의 지적은 4년전의 독재체제 아래서는 다른 수단이 없어 시위가 유일한 민주주의를 향한 수단이었으나 지금은 선거라는 민주적 절차가 보장되어 있어 불만이 있다면 이같은 민주적 과정을 이용해야 된다는 것이다.
이같은 측면에서 시위는 일부 급진세력들의 도구로 전락,중산층의 지지를 얻는데 실패했다는 것이다.
특히 선거로 당선된 대통령을 퇴진하라고 요구하는 것은 이같은 민주적 가치를 무시하는 것이었다는 지적이다.
강군의 사망과 그로인한 과격시위는 민주개혁을 약속한 노대통령의 권위주의 통치로의 회귀가 원인이 됐다고 서방언론들은 한결같이 지적했다.
이들 신문은 노대통령은 많은 개혁을 했지만 집권당시 약속했던 민주화에서 최근 급격히 후퇴한 것이 국민에게 실망을 안겨주어 과격시위의 구실을 제공했다고 지적했다.
이들 신문들은 또 노대통령의 3당 통합은 최악의 실수로 지적했다.
또한 부동산값의 상승,인플레이션,정부의 부정부패 등도 국민의 불만을 야기하고 노대통령 정부의 인기를 떨어뜨렸으며 과격폭력시위의 잠재적 요인이 됐다고 서방언론들은 분석했다.<뉴욕=박준영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