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팩플] 가벼운 AI ‘익시젠’으로 2조 벌겠다…B2B 겨냥한 LG유플러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LG유플러스가 자체 개발한 생성AI(인공지능) 익시젠(ixi-GEN)으로 구현한 AI 영상 광고. 사진 LG유플러스

LG유플러스가 자체 개발한 생성AI(인공지능) 익시젠(ixi-GEN)으로 구현한 AI 영상 광고. 사진 LG유플러스

2일 서울 용산구 LG유플러스 본사에서 열린 B2B(기업간 거래) 중장기 성장 전략 기자간담회. 시작 전 30초짜리 짧은 광고 영상이 상영됐다. 구름 사이로 해가 나오면서 AI세상으로 바뀌는 모습을 묘사한 광고는 LG유플러스가 자체 개발한 생성 인공지능(AI) ‘익시젠(ixi-GEN)’만으로 만들었다.

무슨 일이야 

LG유플러스가 기업 간 거래(B2B) 부문 AI 사업 매출을 2028년까지 2조원으로 끌어올리겠다는 계획을 공개했다. LG유플러스 기업부문 담당인 권용현 전무는 “통신업계가 AI 사업에 뛰어들고 있지만, (앞서 본 광고처럼) 자체 AI를 활용해 서비스를 성공적으로 구현한 사례는 많지 않다”고 말했다. 그는 “회사의 모든 역량을 AI에 결집해 기존 사업부터 응용 서비스까지 AI 전환을 이뤄내겠다”며 “2028년까지 B2B 부문에서 사업매출 2조 원 달성이 목표”라고 설명했다.

전략명 'All in AI’(올 인 AI)에서 알 수 있듯 LG유플러스가 중장기 성장 전략에서 핵심 경쟁력으로 내세우는 것은 AI다. 지난달 25일 출시한 익시젠은 LG AI연구원의 초거대 AI 모델인 엑사원 기반으로 통신·플랫폼 데이터를 학습시켜 만든 소형언어모델(sLLM)이다. 파라미터(AI 연산에 쓰이는 매개변수) 수는 88억 개로 수천 억개 파라미터 수를 지닌 대형언어모델(LLM)보다 가볍고 빠르게 AI 기반 서비스 제공할 수 있다.

2일 오전 서울 용산구 LG유플러스 본사에서 열린 AI 기반 B2B 중장기 전략 기자간담회에서 권용현 기업부문장(전무)이 발표하고 있다. 사진 LG유플러스

2일 오전 서울 용산구 LG유플러스 본사에서 열린 AI 기반 B2B 중장기 전략 기자간담회에서 권용현 기업부문장(전무)이 발표하고 있다. 사진 LG유플러스

B2B 매출 2조, 어떻게? 

LG유플러스는 익시젠을 기반으로 인프라와 데이터 학습, 크게 두 분야에 집중할 계획이다. 권 전무는 “목표로 잡은 2조 원 매출에서 AI 데이터센터·온디바이스 AI와 같은 인프라가 절반, 나머지 절반은 AI를 활용한 B2B 전용 솔루션이 차지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①인프라
LG유플러스는 아시아에서 가장 큰 규모 데이터센터인 평촌 메가센터를 보유하고 있다. 여기에 올해 본격 가동을 앞둔 평촌 2센터, 2027년 완공 목표인 파주센터까지 합치면 총 3개의 하이퍼스케일급(10만 대 이상 서버 수용 가능한 규모) 데이터센터를 운영하게 된다. 익시젠을 활용해 센터의 AI 서버 운영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계획이다.

온디바이스 AI(네트워크 연결없이 기기 내에서 AI 구동) 분야에서는 국내 반도체 설계 회사 ‘딥엑스’와 함께 익시젠에 최적화된 AI 반도체를 연내 선보인다. 회사 측은 기존 반도체 대비 가격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통신 장비·고객센터·로봇·모빌리티 등 LG유플러스의 자체 사업과 LG그룹사가 보유한 다양한 디바이스에도 적용할 수 있다.

②데이터 및 응용 서비스
통신뿐 아니라 다양한 분야로 AI를 확산한다. 당장 적용 가능한 AI 서비스 분야로 회사 측은 고객센터(AICC)·커뮤니케이션·소호(소상공인)·모빌리티 등 4가지 응용 서비스를 꼽았다. 익시젠의 파라미터 수를 88억 개, 250억 개 등으로 세분화해 고객사의 업종, 경영 환경 등에 따라 맞춤형 AI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전병기 AI/DATA 기술그룹장(전무)은 “익시젠은 초거대 AI ‘엑사원(EXAONE)’을 기반으로 통신·플랫폼 데이터를 학습시킨 모델이다. 엑사원의 성능과 지식을 훼손하지 않고 통신 분야에 특화했다는 점에서, 금융·제조·교육·보안 등 다른 분야로 특화 및 확장하는 레시피(방법)를 확보했다는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LG유플러스의 AI 기반 B2B 중장기 전략 기자간담회. (왼쪽부터) 구성철 유선사업담당, 정영훈 기업AI/DX사업담당(상무), 권용현 기업부문장(전무), 박성율 기업사업그룹장(전무), 전병기 AI/Data기술그룹장(전무), LG AI연구원 최정규 Language Lab장(상무). 사진 LG유플러스

LG유플러스의 AI 기반 B2B 중장기 전략 기자간담회. (왼쪽부터) 구성철 유선사업담당, 정영훈 기업AI/DX사업담당(상무), 권용현 기업부문장(전무), 박성율 기업사업그룹장(전무), 전병기 AI/Data기술그룹장(전무), LG AI연구원 최정규 Language Lab장(상무). 사진 LG유플러스

앞으로는

본업인 통신사업에서 성장 정체에 직면한 통신 3사는 모두 최근 AI에 사활을 걸고 있다. SK텔레콤은 AI 서비스(에이닷)를 만들었고, 해외 통신사와 협업에 공을 들이고 있다. 지난해 자체 개발한 AI ‘믿음’을 선보인 KT는 최근 마이크로소프트(MS)와 파트너십을 맺었다. LG유플러스도 AI 기술 경쟁력 강화와 인재확보를 위해 LG CNS·LG전자 등 그룹사는 물론, 글로벌 기업과의 협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권 전무는 “MS, 아마존웹서비스(AWS)와 협업은 계속 논의하고 있고 구체화하는 대로 발표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