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수부대 기 죽이지 마세요’ 전두환 친필 메모의 진실

  • 카드 발행 일시2024.07.02

제3부 금남로의 총소리

7회 5·18과 전두환 책임론

‘5·18 당시 나는 대통령도, 계엄사령관도 아니었다. 1980년 5월 18일부터 27일 사이 그 어느 시간에도, 전남 광주의 그 어느 공간에도 나는 실재하지 않았다. 당시 나는 계엄군의 작전계획을 수립하고 지시하거나 실행하기 위한 그 어떤 회의에도 참석할 수 없었고, 참석한 일이 없다.’(전두환 회고록)

전두환 ‘5·18은 나와 무관하다’

1980년 5월 21일 정오 광주 금남로. 집단발포가 시작되기 직전 시위대와 공수부대원들이 대치하고 있다. 이날 집단발포로 금남로 일대에서 가장 많은 희생자가 나왔다. 중앙일보 이창성 기자 현장취재 사진.

1980년 5월 21일 정오 광주 금남로. 집단발포가 시작되기 직전 시위대와 공수부대원들이 대치하고 있다. 이날 집단발포로 금남로 일대에서 가장 많은 희생자가 나왔다. 중앙일보 이창성 기자 현장취재 사진.

전두환은 회고록에서 자신이 5·18과 무관함을 거듭 강조했다. ‘대통령도 계엄사령관도 아니었다’는 의미는 ‘법적으로 지휘 권한이 없었다’는 주장이다. 전두환은 중앙정보부장과 보안사령관을 겸직하고 있었지만, 군의 작전에 직접 관여할 권한이 없었던 것은 사실이다. 관련 정보 수집과 분석 역시 작전부대 자체 정보조직이 담당하는 일이고, 중앙정보부나 보안사 등 일반 정보기관이 관여할 여지는 없다는 것이 전두환의 주장이다.

전두환은 비극의 책임을 당시 공식 지휘라인에 돌렸다. 당시 공식 지휘라인은 이희성 계엄사령관-진종채 2군 사령관-윤흥정 전교(전투교육)사령관 겸 전남북계엄분소장-정웅 31사단장으로 이어진다.
전두환은 특히 ‘초기 판단착오’한 현장 지휘책임자(윤흥정 사령관과 정웅 사단장)의 책임이 크다고 주장했다. 시위대가 도망갈 길을 열어놓고 해산시키는 방식이 아니라 무조건 체포 위주의 진압을 명령함으로써 대형 유혈 사태를 초래했다는 주장이다.

전두환은 ‘전투 시 상급부대의 임무는 목표의 지정과 전투력의 배정, 자원의 제공’이며 ‘배정받은 전투력(병력)을 언제 어떻게 활용할 것이냐는 것은 현지 지휘관의 권한’이란 원칙론을 주장했다.

현장지휘관 ‘정호용이 과잉진압 요구’

그러나 윤흥정과 정웅은 과잉진압 책임을 부인했다. 자신들은 온건한 대응을 주장했으나, 신군부의 강경 방침에 따라 과잉진압이 이뤄졌다는 것이다.

특히 정호용 특전사령관이 광주에 파견된 공수부대를 지휘했다고 주장했다. 공수부대가 31사단에 배속됐기에 정웅 사단장의 지휘를 받는 것이 정상인데도 불구하고, 실제로는 신군부의 핵심이자 원래 소속된 상급부대(특전사령부) 지휘관인 정호용 특전사령관의 지시에 따라 움직였다는 것이다.
지휘라인이 이원화돼 있었다는 주장이다. 공식 지휘라인, 즉 계엄사-2군-전교사-31사단-공수부대로 이어지는 지휘체계는 형식에 불과했다는 것이다. 실제로는 전두환-정호용-공수부대로 명령이 떨어지고 보고가 올라갔다는 것이다.
이들은 그 근거로 정호용이 광주에 4차례에 걸쳐 80시간 동안 머물렀으며, 전교사령부에 정호용 전용 사무실과 특전사 상황실까지 설치했음을 강조했다.

그러나 정호용 본인은, 공수부대가 다른 부대로 배속돼 지휘를 받더라도 원 소속부대장(특전사령관)은 군수품 배급 등 행정지원의 의무가 있다고 주장했다. 따라서 공수부대가 배속된 지역을 찾아가고, 그곳에 사무실과 상황실을 운영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며 작전지휘권과 무관하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