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외교차관 회담서 “사도광산, 라인야후, 7광구 논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한·일이 28일 고위급 외교 회담을 열고 양국 간 현안인 사도광산 등재 문제, 라인야후 사태, 7광구 협정 문제 등을 논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외교부에 따르면 이날 일본 도쿄에서 열린 제15차 한·일 차관전략대화에서 김홍균 외교부 제1차관과 오카노 마사타카(岡野正敬) 일본 외무성 사무차관은 북한 문제를 비롯한 지역과 글로벌 이슈, 양국의 현안에 대해 집중적으로 논의했다.

김홍균 외교부 제1차관과 오카노 마사타카 일본 외무성 사무차관이 28일 일본 도쿄에서 열린 제15차 한일 차관전략대화를 앞두고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 외교부

김홍균 외교부 제1차관과 오카노 마사타카 일본 외무성 사무차관이 28일 일본 도쿄에서 열린 제15차 한일 차관전략대화를 앞두고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 외교부

특히 한국 측은 사도광산 등재 문제와 관련해 조선인의 강제노역 등 전체 역사가 충실히 반영돼야 한다는 기존 입장을 재차 강조했다. 일본 측은 다음 달 인도에서 열리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에서 최종 등재를 기대하고 있지만, 한국이 반대할 경우 큰 부담이 될 수 있다.

이와 관련, 외교부 고위 관계자는 회담 직후 “양국 모두 협의를 통해 이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인식을 갖고 있다”며 “더 협의해 나갈 생각”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 관계자는 라인야후 사태와 관련해 “네이버 등 우리 기업의 부당한 차별이 없어야 한다는 정부 입장을 이번 협의에서도 전달했다”며 일본 측도 상호 이해를 통해 해결하자는 취지를 밝혔다”고 전했다.

2028년 6월에 공동개발 협정이 종료되는 7광구 문제 역시 이번 회담에서 논의됐다. 내년 6월부터 양국 중 일방이 협정 중단을 선언할 수 있는 사안인 만큼 협상을 서둘러야 하는 상황이다. 고위 관계자는 “여러 외교 경로를 통해 (7광구 협정 문제를) 협의해왔다”며 “이번에도 이 문제를 호혜적으로 풀어야 한다는 입장을 전했다”고 말했다.

외교 차관 전략대화는 한·일 정상회담의 후속 조치로 지난해 10월 9년 만에 재개됐다. 이후 8개월여 만에 이번에 다시 열렸다.

관련기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