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하이닉스, HBM 이어 SSD로 'AI랠리' 공략…AI PC용 신제품 개발

중앙일보

입력

SK하이닉스가 개발한 8채널 PCIe 5세대 온디바이스 AI PC용 SSD ‘PCB01’. 사진 SK하이닉스

SK하이닉스가 개발한 8채널 PCIe 5세대 온디바이스 AI PC용 SSD ‘PCB01’. 사진 SK하이닉스

SK하이닉스가 인공지능(AI) PC용 메모리인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SSD) 신제품을 개발했다. AI 서버용 메모리 반도체인 고대역폭메모리(HBM)에서 거두고 있는 성공을 PC용 AI 메모리로도 이어가겠다는 포부다.

28일 SK하이닉스는 온디바이스 AI PC에 탑재되는 업계 최고 성능 SSD 제품인 ‘PCB01’ 개발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온디바이스 AI PC는 생성 AI 기반의 검색이나 텍스트·이미지 작성 같은 AI 기능을 네트워크 연결 없이도 PC에서 자체적으로 구동하는 PC를 가리킨다. 삼성전자·HP·델·레노버 같은 PC 제조사들은 최근 앞다퉈 각사의 첫 온디바이스 AI PC를 출시했고, 연내 시장이 확대될 전망이다.

SK하이닉스에 따르면 PCB01의 연속 읽기, 쓰기 속도는 각각 초당 14GB, 12GB로, AI 학습·추론에 필요한 거대언어모델(LLM)을 1초 이내에 구동한다. 전력 효율은 이전 세대 대비 30% 이상 개선돼 대규모 AI 연산 작업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지난 4~6일 대만 타이베이에서 열린 '컴퓨텍스 2024' 박람회에 설치된 SK하이닉스 부스. PCB01 등 AI 메모리 제품을 소개했다. 연합뉴스

지난 4~6일 대만 타이베이에서 열린 '컴퓨텍스 2024' 박람회에 설치된 SK하이닉스 부스. PCB01 등 AI 메모리 제품을 소개했다. 연합뉴스

SK하이닉스는 “PCB01에는 최초로 ‘8채널 PCIe 5세대’ 규격을 적용해 데이터 처리 속도 등 성능을 획기적으로 높였다”고 설명했다. PCIe는 데이터 고속 전송에 필요한 연결 표준이며 채널은 데이터 입출력 통로의 개수다. 차세대 PCIe를 적용하고 채널 수가 늘어날수록 데이터를 빠르게 처리할 수 있다.

D램과 낸드플래시는 각기 다른 저장 방식의 메모리로, 메모리 산업의 두 축을 이룬다. HBM은 D램 기반의 고성능 메모리고 SSD는 낸드플래시 기반의 보조 저장장치다.

지난해 시작된 ‘AI 랠리’로 D램 시장이 먼저 살아났고 AI 서버에 쓰이는 기업용 고성능 SSD의 수요가 늘면서 낸드플래시 업황도 회복세다.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지난 1분기 전 세계 낸드 매출이 전 분기 대비 28.1% 증가했으며, 2분기도 10% 매출 증가를 전망한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각각 전 세계 낸드플래시 시장의 36.7%와 22.2%를 점유한 1, 2위 업체다.

SK하이닉스가 개발한 8채널 PCIe 5세대 온디바이스 AI PC용 SSD ‘PCB01’. 사진 SK하이닉스

SK하이닉스가 개발한 8채널 PCIe 5세대 온디바이스 AI PC용 SSD ‘PCB01’. 사진 SK하이닉스

SK하이닉스는 PCB01의 인증작업을 글로벌 PC 제조사와 함께 진행 중이며 연내 양산을 시작, 대형 고객사와 일반 소비자용 제품을 함께 출시한다고 밝혔다. PCB01은 512GB, 1TB, 2TB 등 3가지 용량으로 출시할 예정이다. 안현 SK하이닉스 부사장은 “온디바이스 AI PC용 CPU를 생산하는 여러 빅테크 기업들로부터 호환성 검증 협업 요청이 들어오고 있다”며 “낸드 솔루션에서도 세계 1위 AI 메모리 리더십을 공고히 하도록 힘쓸 것”이라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