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비우호국과 '외교관계 격하' 포함 모든 방안 고려"

중앙일보

입력

세르게이 랴브코프 러시아 외무차관. 리아노보스티=연합뉴스

세르게이 랴브코프 러시아 외무차관. 리아노보스티=연합뉴스

러시아 정부 관계자들이 서방의 반러시아 정책에 대응해 비우호국과의 외교관계를 격하할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27일(현지시간) 세르게이 랴브코프 러시아 외무차관은 일간 이즈베스티야 인터뷰에서 "미국과 그 동맹국과의 외교관계 수준을 낮출 가능성이 연구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러시아가 이런 조처를 먼저 한 적은 없으며 소통라인을 유지해야 한다"면서도 "앞으로 어떤 선택지도 배제해서는 안 된다. 모든 것은 상대의 행동에 달렸다"고 덧붙였다.

러시아는 2022년 3월 우크라이나 '특별군사작전' 개시 직후 한국을 비우호국으로 지정했다.

타스 통신에 따르면 같은 날 드미트리 페스코프크렘린궁 대변인도 브리핑에서 "우크라이나 분쟁에서 미국 등 서방의 개입이 커지면서 러시아는 적대적 개입에 대응하는 다양한 선택지를 고려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하지만 어떤 결정도 내려지지 않았다"며 "우리나라 외교 정책은 대통령이 결정한다"고 했다.

한편 페스코프 대변인은  북한 공병부대가 우크라이나 도네츠크·루한스크 지역에 배치될 수 있다는 보도에 대해 "무엇을 말하는 것인지 모른다"고 답했다.

앞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만나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 조약'을 맺으면서 도네츠크 등 우크라이나 내 러시아 점령지 재건을 위한 북한의 공병부대 파견 가능성이 제기됐다. 이에 매슈 밀러 미 국무부 대변인은 "도네츠크는 우크라이나의 일부지 러시아의 일부가 아니다"라며 반대 입장을 밝혔다.

관련기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