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1병, 펜 1자루, 백지뿐…바이든·트럼프 '토론전투' 스탠바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조 바이든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첫 TV토론이 진행되는 미국 조지아주 애틀랜타 CNN 본사 건물 외벽엔 27일(현지시간) 오후 9시로 예정된 토론회를 알리는 현수막이 걸렸다. 스튜디오엔 두 사람이 설 단상이 나란히 설치됐다. 생방송 ‘큐’ 사인이 떨어지면 두 사람은 오로지 백지 메모지와 펜 한자루, 물 한 병만을 단상 위에 올려 놓고 ‘맨몸’으로 토론을 진행하게 된다.

조 바이든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은 27일(현지시간) 첫 TV토론을 앞두고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AP=연합뉴스

조 바이든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은 27일(현지시간) 첫 TV토론을 앞두고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AP=연합뉴스

단상 마이크에는 전원이 들어와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가 부착돼 있다. 발언 시간이 지나면 마이크가 자동으로 꺼지도록 하는 데 양 후보가 사전에 합의한 데 따른 조치다. 양측은 사회를 맡은 CNN의 앵커 제이크 태퍼와 데이나 배시 외에 청중도 배제하기로 하면서 스튜디오엔 청중석도 마련되지 않았다.

CNN이 토론 전날인 26일 오전 프레스룸 운영을 시작하면서 전세계 언론들의 취재 열기로 달아오르기 시작했다. 다만 CNN이 스튜디오 내 취재를 통제하면서, 중앙일보 등 전세계 주요 언론사 기자와 스텝 등 800여명은 스튜디오 건너편 프레스룸과 양 캠프의 핵심 인사들이 수시로 드나들 수 있는 스핀룸 등에 방송 장비 등을 설치하느라 분주하게 움직였다. CNN은 취재 공간에도 보안 검색대를 설치했고, 백악관 출입기자단의 풀 취재단 출입을 요청도 거절했다.

27일(현지시간) 애틀랜타에서 열리는 조 바이든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간의 대선 토론을 앞두고 주요 언론사들이 스핀룸에 방송 장비를 설치하고 있다. AP=연합뉴스

27일(현지시간) 애틀랜타에서 열리는 조 바이든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간의 대선 토론을 앞두고 주요 언론사들이 스핀룸에 방송 장비를 설치하고 있다. AP=연합뉴스

전·현직 대통령의 TV토론을 앞둔 시민들의 표정은 엇갈렸다. 특히 트럼프 전 대통령이 출마했던 지난 두 차례의 대선에서 TV토론이 인신 공격성 비방전으로 흘렀던 점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적지 않았다.

이날 중앙일보가 만난 존 스티븐슨은 “쇼 형식의 토론회는 트럼프처럼 목소리가 큰 대중 연설가에게 유리할 수밖에 없다”며 “이번 토론회는 스포츠 중계가 아닌 정책 토론이 돼야 한다”고 말했다. 크리스틴 오넌은 “이번 토론이 또다시 유치한 드라마가 되지 않게 하려면, 두 사람 모두 싫지만 특히 트럼프에게 발언의 기회를 줘선 안 된다”고 했다.

대선 결과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토론 결과에 대해선 지지자들의 기대와 우려가 함께 감지됐다.

바이든을 지지한다고 밝힌 토드 라이언은 “바이든이 트럼프를 압도한다면 지지율 상승의 좋은 계기가 되겠지만, 만약 발언 중 몇번 공백이라도 생길 경우 고령에 대한 공격을 더 크게 받게 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트럼프 지지 의사를 밝힌 알렉스 로버트는 “트럼프의 생각에 100% 동의하지 않고 이번에도 거친 발언이 나오겠지만, 트럼프가 강조해 온 인플레이션, 불법 이민 등에 대한 해결에 기대를 걸고 싶다”고 말했다.

26일(현지시간) 애틀랜타의 CNN 건물에 대선 토론을 홍보하는 현수막이 걸려 있다. AP=연합뉴스

26일(현지시간) 애틀랜타의 CNN 건물에 대선 토론을 홍보하는 현수막이 걸려 있다. AP=연합뉴스

바이든 대통령과 트럼프 전 대통령 진영은 이날 토론을 최종 점검하며 날 선 신경전을 이어갔다.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 20일 대통령 별장인 캠프데이비드에 들어간 뒤 이날까지 6일째 공식 일정 없이 토론 준비에 매진했다. 론 크레인 전 백악관 비서실장을 비롯해 최소 16명의 전·현직 참모들이 집결해 모의토론 무대까지 만들고 실전 훈련을 거듭했다. 바이든 대통령의 개인변호사 밥 바우어는 2020년에 이어 이번에도 ‘모의 트럼프’ 임무를 수행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선거유세와 모금 행사 일정을 소화하는 중간중간 핵심 측근들과 정책을 가다듬었다. 여기엔 공동 선거대책위원장 수지 와일스·크리스 라시비타, 캠프 대변인 스티븐 청, 언론전략 담당 제이슨 밀러, 디지털 담당 댄 스카비노 등 측근 5인방이 투입됐다. 그러면서도 ‘특훈’을 벌이는 바이든 대통령을 겨냥해 “나는 평생 이것을 준비해왔고, (바이든이)알아야 하는 것을 배우려고 자신을 방에 1∼2주 가두는지 잘 모르겠다”며 조롱하기도 했다.

26일(현지시간) 애틀랜타에서 열릴 조 바이든 대통령과 공화당 대선 후보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간의 27일 CNN 대통령 토론 취재를 준비하는 위해 취재진들이 스핀룸에서 대화를 나누고 있다. AP=연합뉴스

26일(현지시간) 애틀랜타에서 열릴 조 바이든 대통령과 공화당 대선 후보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간의 27일 CNN 대통령 토론 취재를 준비하는 위해 취재진들이 스핀룸에서 대화를 나누고 있다. AP=연합뉴스

이번 토론은 최초의 전·현직 대통령 간의 TV토론이자, 4년 전 대결의 연장전이라는 점에서도 주목받는다. 특히 4년 전 현직 대통령 위치에서 방어전을 치렀던 트럼프가 이번엔 도전자 위치에서 토론을 벌이는 만큼 공세 수위가 더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 다만 2020년 토론 전 지지율에서 바이든에게 크게 뒤지고 있던 것과 달리 이번엔 근소한 우세를 보이고 있다. 과거와 같이 무리수를 두지 않을 수도 있다는 의미다. 실제 그는 지난 20일 “바이든이 훌륭한 토론자가 될 것이고, 그를 과소평가하고 싶지 않다”고 말하기도 했다.

반면 바이든 입장에선 박빙 열세 상황인 지지율을 반전시킬 카드가 필요한 만큼 오히려 바이든이 이번 토론을 적극적인 공세의 장으로 활용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실제 이번 토론은 바이든 대통령의 제안으로 성사됐는데, 이 과정에서 통상 대통령토론위원회(CDP)가 9월에 주최해왔던 토론회 일정까지 3개월 가량 당겨졌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