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연속 WC 본선행 도전’ 한국, 3차 예선 침대축구 주의보

중앙일보

입력

북중미월드컵 아시아 3차 예선 조 추첨식에 참석한 일본 축구 레전드 오카자키 신지가 포트1 소속 국가들을 추첨하면서 대한민국이 적힌 종이 리본을 펼쳐보이고 있다. 사진 AFC 영상 캡처

북중미월드컵 아시아 3차 예선 조 추첨식에 참석한 일본 축구 레전드 오카자키 신지가 포트1 소속 국가들을 추첨하면서 대한민국이 적힌 종이 리본을 펼쳐보이고 있다. 사진 AFC 영상 캡처

11회 연속 월드컵 본선 진출을 노리는 한국 축구대표팀이 2026 북중미월드컵 아시아 3차 예선에서 껄끄러운 상대를 피했다. 하지만 중동 팀들과의 대결을 줄줄이 앞두고 있어 ‘침대 축구’에 대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국제축구연맹(FIFA) 랭킹 22위 한국은 27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의 아시아축구연맹(AFC) 하우스에서 열린 북중미월드컵 아시아 3차 예선 조 추첨식에서 B조에 포함됐다. 2차 예선을 통과한 18개국 중 FIFA랭킹 상위 3개 팀에게 주어지는 톱 시드를 확보한 한국은 C조의 일본(18위), A조의 이란(20위)과 함께 포트 1에 이름을 올렸다.

추첨 결과 한국은 이라크(55위), 요르단(68위), 오만(76위), 팔레스타인(95위), 쿠웨이트(137위) 등과 한 조에 묶였다. 일단 포트 2의 호주(23위)와 카타르(35위), 포트 3의 사우디아라비아(56위) 등 부담스러운 상대를 모두 피한 건 긍정적이다. B조에서 만나게 된 요르단은 지난 2월 AFC 아시안컵 본선 4강에서 한국에 치욕적인 패배를 안긴 상대지만, 객관적인 경기력에선 여전히 한국이 앞선다.

하지만 한국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상대 팀들이 중동 지역 국가로 구성됐다는 점에서 원정 경기에 대한 부담이 적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장거리 이동뿐만 아니라 낯선 환경과 문화, 그라운드 상태, 걸핏하면 그라운드에 드러누워 시간을 끄는 침대 축구에 이르기까지 경기장 안팎의 상황에 잘 적응하는 게 대표팀의 중요 과제로 떠올랐다.

북중미월드컵 아시아 3차 예선 조 추첨 결과. 한국은 이라크, 요르단, 오만, 팔레스타인, 쿠웨이트 등과 함께 B조에 이름을 올렸다. 사진 AFC 영상 캡처

북중미월드컵 아시아 3차 예선 조 추첨 결과. 한국은 이라크, 요르단, 오만, 팔레스타인, 쿠웨이트 등과 함께 B조에 이름을 올렸다. 사진 AFC 영상 캡처

일본은 호주, 사우디아라비아와 함께 이른바 ‘죽음의 조’에 묶였다. 아시안컵 2연패를 이룬 카타르, 중앙아시아의 복병 우즈베키스탄(62위)과 함께 경쟁하는 이란도 마음을 놓을 수 없는 상황이다. 북한(110위)은 이란과 함께 A조에 포함됐고, 한국인 신태용 감독이 지휘봉을 잡아 사상 처음 3차 예선 진출에 성공한 인도네시아(134위)는 일본과 함께 C조에 이름을 올렸다.

북중미월드컵 아시아 3차 예선은 오는 9월 개막해 내년 6월까지 열린다. 2차 예선을 통과한 18개 팀이 6개 팀씩 3개 조로 나뉘어 경쟁을 펼친다. 월드컵 본선 참가국이 기존 32개국에서 48개국으로 대폭 확대되며 아시아 몫의 본선 진출 티켓도 4.5장에서 8.5장으로 대폭 늘었다. 3차 예선 각 조 1·2위 6개 팀은 본선 출전권을 일찌감치 확보하고, 3·4위 6개 팀은 남은 2.5장을 놓고 패자부활전(4차 및 5차 예선) 무대에 나서야 한다.

한국은 일본·이란 등과 함께 아시아 톱클래스로 꼽히지만, 정상 컨디션이 아니다. 지난 2월 전임 사령탑 위르겐 클린스만(독일) 감독 체제로 치른 AFC 아시안컵 본선에서 무기력한 경기 끝에 중도 탈락한 이후 4개월 넘게 내홍을 겪고 있다. 주축 멤버 손흥민(토트넘)과 이강인(파리생제르맹)을 중심으로 불거진 선수들 사이의 갈등은 일단락됐지만, 전술적 역량과 리더십을 겸비한 새 감독을 찾지 못해 대표팀 분위기가 어수선하다.

북중미월드컵 아시아 3차 예선 조 추첨식 현장 모습. 사진 AFC 영상 캡처

북중미월드컵 아시아 3차 예선 조 추첨식 현장 모습. 사진 AFC 영상 캡처

정해성 위원장이 이끄는 대한축구협회 국가대표 전력강화위원회(이하 강화위)가 지난 3월과 이번 달 A매치에 앞서 새 감독을 선임하기 위해 비용과 시간을 쏟아부었지만, 아직도 결론을 내놓지 못했다. 결국 한국 축구는 올해 치른 2차 예선 마지막 4경기를 서로 다른 두 명의 임시 감독(황선홍·김도훈) 체제로 마무리했다. 일본을 비롯한 경쟁국들이 기존 감독을 중심으로 일사불란하게 움직이며 경험과 조직력을 다진 것과는 비교된다.

월드컵 본선 진출의 최종 관문인 아시아 3차 예선 대진이 완성된 만큼 새 감독을 중심으로 대표팀 내부 분위기를 다잡고 상대 팀 전력을 분석하는 등 본격적인 준비 작업에 나서야 할 때다. 이와 관련해 축구협회 사정에 밝은 관계자는 “강화위가 최근 축구대표팀 차기 감독 후보로 내국인 1명, 외국인 3명 등 4명으로 범위를 좁혀 마지막 검토 작업에 돌입했다”면서 “머지않아 결론이 날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