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훈은 절윤, 원희룡은 창윤"…尹신조어 골머리 앓는 용산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국민의힘 당대표 출마 선언을 한 나경원 의원(사진 왼쪽부터), 원희룡 전 국토부 장관, 윤상현 의원, 한동훈 전 비상대책위원장이 지난 24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국민의힘 초선의원 공부모임에 참석해 자리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당대표 출마 선언을 한 나경원 의원(사진 왼쪽부터), 원희룡 전 국토부 장관, 윤상현 의원, 한동훈 전 비상대책위원장이 지난 24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국민의힘 초선의원 공부모임에 참석해 자리하고 있다. 연합뉴스

대통령실이 윤심(尹心) 논란을 둘러싼 신조어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국민의힘 전당대회가 시작되자 주요 후보들에 대해 친윤과 비윤, 반윤이란 분석부터 나온 데 이어 최근엔 절윤(絶尹)과 창윤(創尹)이라는 표현까지 등장했기 때문이다. 절윤은 일부 언론이 대통령실 관계자를 인용해 윤석열 대통령과 한동훈 전 비상대책위원장의 관계가 끓겼다며 ‘절윤’이라 표현한 것에서 비롯됐다. 창윤은 원희룡 전 국토교통부 장관이 자신을 “친윤, 반윤이 아닌 윤석열 정부를 만든 창윤(27일 CBS라디오)”이라며 밀고 있는 신조어다.

여당 전당대회에 엄정 중립을 강조하는 대통령실은 특히 절윤이란 표현에 민감하다. 윤·한 갈등을 넘어 당·정 갈등을 부추기는 갈라치기 프레임에 가깝다는 것이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27일 통화에서 “실제 용산 내부에서 절윤이란 표현이 나온 것인지 사실관계를 확인 중”이라며 “대통령실은 후보 관련 어떠한 평도 하지 않는 게 일관된 입장”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절윤은 사실여부를 떠나 정치권에서 확대 재생산되는 중이다. 전대 후보 중 한 명인 윤상현 의원은 26일 SBS라디오 인터뷰에서 “대통령실에서 이분은 아예 절윤이라고 한다. 관계가 끝났다는 의미”라며 한 전 위원장을 비판했다. 반면 한 전 위원장은 같은 날 “정치인의 친소 관계가 계파의 기준이 되는 것은 참 후지다. 우리는 친국회, 친국민, 친국가해야 한다”고 했고, 나경원 의원은 한 전 위원장과 원 전 장관을 겨냥해 “친윤·반윤 팔아서 본인들 다음 대선 캠프 만드나”라고 지적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26일 서울 광진구 국립정신건강센터에서 열린 정신건강정책 혁신위원회 회의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 대통령실

윤석열 대통령이 26일 서울 광진구 국립정신건강센터에서 열린 정신건강정책 혁신위원회 회의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 대통령실

역대 정부마다 대통령과의 친소 관계로 권력의 크기를 드러내는 표현은 반복돼왔다. 이명박(MB)·박근혜 정부에선 친이와 친박, 비박과 진박 갈등이 벌어졌고, 문재인 정부에서도 친문이란 수식어 없이 여권 지형을 설명하긴 어려운 구조였다. 검찰총장을 그만두고 정치에 입문한 지 불과 9개월 만에 당선된 윤 대통령도 예외는 아니었다. 검찰 인맥 외에 여의도 내 계파도 없는 정치 신인이었지만 대선 캠프 때부터 윤심 논란은 벌어졌다.

대표적 사례가 ‘윤핵관(윤석열 측 핵심 관계자)’이란 단어다. 이준석 개혁신당 의원이 지난 대선 당시 처음 사용했던 표현으로 윤 대통령과 가까운 인사들이 언론에 익명 인터뷰로 윤 대통령의 의중을 전하는 걸 비판하며 쓰이기 시작했다. 이번 전대에 등장한 각종 윤심 관련 신조어도 결국 윤핵관의 후속편이라 보는 시각도 있다. 여권 관계자는 “총선 패배 뒤 더이상 특정인을 윤핵관으로 꼽기는 어려운 상황에서, 그 권력의 진공상태를 친윤, 절윤, 창윤 등이 메우는 것 아니겠냐”고 했다. 일각에선 권력만을 쫓아가는 여당의 현주소란 비판도 나온다.

대통령실은 전대 내 윤심 논쟁이 당은 물론 윤 대통령에게도 좋을 게 없다는 입장이다. 전대 과정에서 당·정 갈등의 후유증을 최소화하지 않으면, 향후 국정운영에서도 어려움을 피할 수 없어서다. 엄경영 시대정신연구소장은 “이번 전대에서 어떤 후보가 당선될지 확신할 수 없는 단계”라며 “용산도 플랜B까지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알고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