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다탄두 탄두 분리·유도조종시험 성공"…합참 실패 판단에 반박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북한이 동해상으로 미상의 탄도미사일을 발사한 26일 오전 서울역에서 시민들이 관련 뉴스 보도를 지켜보고 있다. 연합뉴스

북한이 동해상으로 미상의 탄도미사일을 발사한 26일 오전 서울역에서 시민들이 관련 뉴스 보도를 지켜보고 있다. 연합뉴스

북한은 전날 발사한 탄도미사일이 다탄두 능력 확보를 위한 ‘성공적’ 시험이었다고 27일 주장했다.

조선중앙통신은 이날 “미사일총국은 26일 미사일 기술력 고도화 목표 달성에서 중대한 의미를 가지는 개별기동 전투부(탄두) 분리 및 유도조종시험을 성공적으로 진행하였다”고 밝혔다. 앞서 합동참모본부는 이 미상 탄도미사일이 실패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전날 밝힌 바 있다.

통신은 이 시험의 목적과 관련 “다탄두에 의한 각개 표적 격파능력을 확보하는 데 있다”며 “무기체계들의 기술 고도화를 위한 미사일 총국과 관하 국방과학연구소들의 정상적인 활동의 일환”이라고 보도했다. 북한이 다탄두 능력 확보를 위한 미사일 발사시험을 진행했다고 공개한 것은 처음인 것으로 파악된다. 다탄두 미사일은 동시에 여러 표적을 공격할 수 있어 핵·미사일 능력 고도화 과정에 중요한 단계로 여겨진다.

통신은 “중장거리 고체 탄도미사일 1계단 발동기(엔진)를 이용해 최대의 안전성을 보장하며 개별기동 전투부의 비행특성 측정에 유리한 170∼200㎞ 반경 범위 내에서 진행됐다”고 설명했다. 시험 과정에선 분리된 탄두들이 “설정된 3개의 목표 좌표점들로 정확히 유도”됐다며 “미사일에서 분리된 기만체의 효과성도 반(反)항공 목표 발견 탐지기들을 동원해 검증하였다”고 주장했다.

미사일총국은 “이 기술시험이 본격적인 시험단계에 들어갈 수 있게 된 것은 우리 미사일 역량강화와 기술발전에서 중대한 의미를 가진다”고 밝혔으며, 참관한 지도간부들은 “개별기동전투부에 의한 각개표적격파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은 매우 중요한 국방기술과제이며 당중앙이 제일로 관심하는 문제”라고 강조했다.

이날 시험은 박정천 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과 김정식 노동당 제1부부장이 참관했다. ‘당중앙이 제일로 관심’ 한다는 표현은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관심사라는 뜻으로 풀이된다.

합참은 전날 북한이 오전 5시30분께 평양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미상 탄도미사일을 발사했으나 실패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힌 바 있다. 합참 관계자는 “북한이 발사한 미사일은 1발로 250여㎞를 비행하다가 원산 동쪽 해상에서 공중 폭발했다”며 “파편이 반경 수㎞에 걸쳐 흩어져 바다에 떨어졌다”고 설명했다. 이 탄도미사일이 고체연료 추진체계를 적용한 중거리급 탄도미사일(IRBM)일 가능성을 열어뒀다.

군 당국은 북한이 고체 연료 극초음속 탄도미사일의 성능 개량을 위해 시험발사를 시도했다가 실패한 것으로 추정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