볼리비아軍 쿠데타 실패…대통령궁 무력 진입 3시간 만에 철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남미 볼리비아에서 군부 일부가 26일(현지시간) 탱크와 장갑차를 동원해 대통령궁에 무력으로 진입했다가 3시간여 만에 철수했다.

“무너진 조국을 되찾겠다”며 무력행동에 나선 군 핵심 지도부는 대통령의 ‘쿠데타 시도’ 강경 대응 천명과 시민들의 반발 움직임 등에 결국 회군했다.

무장한 볼리비아 군 장병들은 이날 오후 3시쯤 탱크와 장갑차 등을 앞세운 채 수도 라파스 무리요 광장에 집결했다. 무리요 광장 앞에는 대통령궁(정부청사)과 국회, 대성당이 있다.

볼리비아 군은 청사 앞에 대오를 갖춘 채 시민들의 통행을 일부 통제했고, 장갑차로 청사 건물 입구를 부쉈다.

26일(현지시간) 볼리비아 라파스 대통령궁 앞 무리요 광장에 군부가 집결해 있다. AFP=연합뉴스

26일(현지시간) 볼리비아 라파스 대통령궁 앞 무리요 광장에 군부가 집결해 있다. AFP=연합뉴스

텔레비시온 볼리비아나 등 현지 TV 방송 매체들은 급박했던 당시 상황을 생중계했다. 루이스 아르세 볼리비아 대통령은 이날 자신의 엑스(X·옛 트위터)에 “규정에서 벗어난 군대 배치가 이뤄졌다”며 “민주주의는 존중받아야 한다”고 적었다. 에보 모랄레스 전 대통령 역시 엑스에 “쿠데타가 진행 중”이라고 썼다.

이날 장병들의 이동은 후안 호세 수니가 장군 명령에 따른 것이라고 현지 일간 엘데베르는 전했다.

합찹의장이었던 수니가 장군은 내년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모랄레스 전 대통령을 겨냥, 최근 민감한 정치적 언사를 몇 차례 한 것으로 나타났다. 모랄레스 전 대통령은 내년 대선 출마를 기정사실로 하고 있다.

아르세 대통령은 이날 오후 대통령궁 청사 안으로 들어온 수니가 장군과 대면하고 “군 통수권자로서 이런 불복종을 용납할 수 없으니 철군할 것”을 요구했다.

두 사람 주변에 몰렸던 사람 중 누군가 수니가 장군에게 “그만 물러나라, 이래선 안 된다”고 외치기도 했다. 이 모습은 현지 방송 유튜브를 통해 중계됐다. 수니가 장군은 아르세 대통령에게 일부 정치범 석방을 요구하기도 했다고 현지 매체는 덧붙였다.

짧은 만남 후 아르세 대통령은 곧바로 각료들과 함께 연 별도의 긴급 대국민 연설에서 “볼리비아가 군의 쿠데타 시도에 직면했다”며 “국민과 함께 민주주의를 수호하기 위해 저와 내각 구성원은 이곳에 굳건히 서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군 지휘부 3인을 즉각 교체했다.

한 시간 뒤, 아르세 대통령은 지지자들의 함성 속에 새로운 육·해·공군 사령관을 발표했다. 현지 영상에는 군대가 대통령궁 바깥을 봉쇄하는 모습이 담겼다.

AP통신에 따르면 신임 육군 수장인 호세 윌슨 산체스는 “(쿠데타에)동원된 모든 사람에게 각자의 부대로 돌아갈 것을 명령한다”며 “아무도 우리가 거리에서 보고 있는 모습들을 원치 않는다”고 했다.

얼마 지나지 않아 군대와 장갑차가 볼리비아 대통령궁에서 철수하기 시작했다. 아르세 대통령은 이날 오후 6시께 대통령궁 발코니에 모습을 드러냈고, 시민들은 대통령 지지 구호를 외치며 환호했다.

한편, 로이터는 볼리비아 검찰이 수니가 장군에 대한 범죄 혐의 수사에 착수했다고 전했다. 수니가 전합참의장은 이날 저녁 경찰에 전격 체포됐다.

브라질을 비롯한 중남미 주변국과 유럽연합 등 국제사회는 일제히 군부의 무력 행위를 성토했다.

주볼리비아 대사관 “군 무력 동원, 라파스 도심 접근 삼가야”

볼리비아 주재 한국대사관은 이날 홈페이지 긴급 안전 공지를 통해 “오늘 오후 일군의 무장 군인이 무리요 광장을 점거하고 대통령궁에 진입했다. 군의 정치개입에 반대하는 시민을 해산하기 위해 최루가스를 쓰는 등 굉장히 위험하고 불안정한 상황이 발생했다”고 수도 라파스 도심 대통령궁 인근 접근을 삼갈 것을 교민과 여행객에게 당부했다. 대사관은 대통령궁 및 무리요 광장, 시내 중심가 출입을 삼갈 것과 현지 뉴스에 귀를 기울일 것을 교민 등에게 요청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