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께하는 금융] 고객 맞춤형 로보어드바이저가 랩 상품 추천하는 ‘MY AI’ 서비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07면

한국투자증권

‘MY AI’는 한국투자증권 고객이 입력한 개인정보, 투자성향·계획, 소득정보 등을 바탕으로 인공지능이 고객에게 잘 맞는 로보어드바이저가 운용하는 랩 상품을 추천해 주는 서비스다. [사진 한국투자증권]

‘MY AI’는 한국투자증권 고객이 입력한 개인정보, 투자성향·계획, 소득정보 등을 바탕으로 인공지능이 고객에게 잘 맞는 로보어드바이저가 운용하는 랩 상품을 추천해 주는 서비스다. [사진 한국투자증권]

AI 기술을 활용한 금융 서비스가 다양해지고 있다. 한국투자증권은 올해 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MTS) ‘한국투자’ 앱을 통해 고객에게 맞는 로보어드바이저(RA) 랩(WRAP) 상품을 추천해주는 ‘MY AI’ 서비스를 출시했다. ‘MY AI’는 한국투자증권 고객이 직접 입력한 개인정보 및 투자성향·투자계획·소득정보 등을 바탕으로 인공지능(AI)이 약 1억3000만번의 시뮬레이션을 진행한 뒤 고객에게 잘 맞는 로보어드바이저가 운용하는 랩 상품을 추천해 주는 서비스다.

My AI는 한국투자증권이 자체 개발한 ‘코비’를 비롯해 쿼터백자산운용·퀀팃투자자문 등 다양한 금융사에서 개발해 코스콤의 테스트베드를 통과한 로보어드바이저의 랩 상품을 추천해준다. 지속적으로 로보어드바이저 수를 확대하고 추천 대상 상품을 넓혀갈 예정이다.

My AI는 랩 상품의 투자 접근성과 편의성도 높였다. MY AI가 추천하는 랩 상품은 최소 가입금액 100만원, 수수료 연 0.5%로 기존 랩 상품에 비해 낮은 편이다. 아울러 비대면 랩 상품 가입 시 필요했던 영상통화 절차를 없앴고, 운용성과 조회 화면과 다양한 투자 콘텐츠를 제공한다.

이에 앞서 한국투자증권은 ‘에어(AIR, AI Research)’를 도입했다. 에어는 2020년 출시한 인공지능 리서치 서비스다. 주가 추이, 재무 상황 등 기본적 정보를 비롯해 성장성과 수익성, 배당 수준 등 다양한 정보를 리포트로 제공한다. 당일 뉴스가 주가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짚어주는 것도 특장점으로 꼽힌다.
  
에어는 출시 후 국내주식 1만여 개, 미국주식 8000여 개 종목을 분석했다. 국내주식의 경우 중복을 제외해도 전체 상장 종목의 74.7%에 해당하는 종목들을 커버했다. AI를 활용한 자동 분석 시스템을 적용한 덕분에 중소형주 관련 정보에서도 성과를 내고 있다. 에어가 지난해 보고서를 낸 931개 국내주식 종목 중 80.6%는 시가총액 1조원 미만의 기업이다.

한국투자증권은 기존 업무의 디지털 전환에 각별한 관심을 갖고 있다. 직원의 디지털 역량 강화를 통해 회사의 디지털 전환 속도를 높인다는 계획이다. AI 기술 연구개발에도 힘을 쏟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