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양자컴퓨터 기술 2.3점…미국 100점·중국 35점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0면

한국의 양자기술이 세계 주요 국가들과 비교해 최하위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산하 글로벌 연구개발(R&D) 특별위원회 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첨단바이오·인공지능(AI)·양자 글로벌 R&D 전략지도안’을 심의했다고 26일 밝혔다.

김주원 기자

김주원 기자

글로벌 R&D 전략지도는 국가별 기술 수준을 논문(피인용 상위 10% 논문 수), 특허, 전문가 정성평가를 바탕으로 100점 만점 표준화 점수를 내 기술 수준 상위 10여 개 국가를 비교한 지도다.

이 지도에 따르면 한국의 양자기술은 주요 12개국과 비교했을 때 모든 분야에서 12위, ‘꼴찌’였다. 양자기술 중 양자컴퓨터 부문은 기술 수준이 가장 높은 미국이 100점, 중국은 35점인 데 반해 한국은 2.3점에 불과했다. 양자통신 부문에서도 미국은 84.8점을 받았지만 한국은 2.9점에 머물렀다.

반면에 AI 분야 중 효율적 학습 및 AI 인프라 고도화 부문은 4위, 첨단 AI 모델링·의사결정 부문은 5위, 안전·신뢰 AI 부문은 6위 수준으로 평가됐다. 첨단바이오 분야는 합성생물학 7위, 유전자·세포 치료 9위, 감염병 백신·치료는 11위였다.

양자기술은 미국·중국 등 주요 선진국들이 국가 차원에서 막대한 돈을 투자하는 미래 핵심 ‘게임 체인저’로 손꼽히는 기술이다. 양자컴퓨터의 경우 기존 컴퓨팅 기술보다 여러 복잡한 계산 등을 훨씬 빠르게 풀어내고 보안성 또한 높은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과기정통부는 기술 공동연구 등 국제 협력을 통해 양자 부문 기술력을 확보해 나갈 계획이다. 구체적으로는 미주·유럽·아시아 등에 양자과학기술 국제협력 거점센터를 구축해 국가 간 협력 기반을 강화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