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미사일 도발한 날…랩터 뜨고 천무 쏘고 K9 불 뿜었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4면

26일 오전 인천시 옹진군 대연평도 앞 바다 상공에 북한의 탄도미사일로 추정되는 항적운이 포착됐다. [뉴시스]

26일 오전 인천시 옹진군 대연평도 앞 바다 상공에 북한의 탄도미사일로 추정되는 항적운이 포착됐다. [뉴시스]

군 당국이 26일 연평도·백령도 등 서북도서 일대에서 7년 만에 대규모 포병 사격 훈련을 실시했다. 정부는 북한 오물풍선 도발에 대응해 9·19 남북 군사합의 효력을 모두 중지한 데 따라 전방 지역 실사격 훈련을 본격화한다는 방침이다. 북한은 이날도 오물풍선을 살포했고, 동해상으로는 극초음속 탄도미사일을 시험발사했으나 실패했다.

군 당국에 따르면 서해 접경 지역을 방어하는 해병대 서북도서방위사령부(서방사)는 이날 연평도·백령도 등 서북도서 일대에서 K9 자주포 40여대 등을 동원한 포사격 훈련을 진행했다. 천무 다연장 로켓, 스파이크 대전차 미사일 등도 동원, 약 1시간에 걸쳐 총 290여 발을 쐈다고 해병대는 전했다. K9 자주포와 천무는 해상 특정구역을, 스파이크는 해상에 띄워둔 모의 표적을 겨냥해 사격하는 방식이었다.

관련기사

이 같은 훈련이 실시된 건 2017년 8월 이후 처음이다. 지난 1월 북한이 200여 발의 해안포 사격 도발을 하자 북측 수역을 향해 400발의 대응 사격을 한 적은 있지만, 북한에 대응하는 것이 아닌 군의 계획에 따른 실사격 훈련은 지난 7년간 없었다. 이는 2018년 9·19 군사합의에서 서북 도서를 포함한 서해 완충 수역에서 포 사격을 하지 않기로 한 데 따른 조치였다. 군은 이후 서북도서 해상훈련을 전면 중단하고 최소 단위의 육지 훈련만 진행했었다.

같은 날 오산기지에서 이륙하고 있는 미 공군 스텔스 전투기 F-22 랩터. 한미 연합공중훈련에 참가했다. [연합뉴스]

같은 날 오산기지에서 이륙하고 있는 미 공군 스텔스 전투기 F-22 랩터. 한미 연합공중훈련에 참가했다. [연합뉴스]

그러나 지난달 말부터 북한이 감행한 오물풍선 도발은 9·19 합의로 인한 이런 군의 족쇄를 푸는 명분으로 작용했다. 정부는 지난 4일 국무회의에서 9·19 군사합의 전체 효력 정지안을 심의·의결했다. 표현은 효력 정지이지만, 사실상 폐기 수순이라는 얘기가 나왔다. 이번 정례 해상 사격훈련을 계기로 화력운용능력 향상과 군사대비태세의 완전성을 추구한다는 게 해병대 입장이다.

이달 중 훈련 재개는 예정돼 있었지만, 이번 훈련은 북·러 밀착을 통한 한반도 위협 고조 및 북한의 오물풍선 재살포, 탄도미사일 도발 등에 맞대응하는 성격도 띠게 됐다. 해병대 관계자는 “이번 훈련은 최근 위성항법장치(GPS) 전파 교란, 미사일 발사 등 북한의 도발로 인해 9·19 군사합의 효력이 전부 정지되고 시행되는 첫 서북도서 해상사격훈련”이라고 말했다.

북한은 이날 동해상으로 극초음속 중거리탄도미사일(IRBM)을 발사했다. 합동참모본부는 “26일 오전 5시 30분쯤 북한이 평양 일대에서 동해 상으로 미상 탄도미사일을 발사했으나 실패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합참 관계자는 “북한이 발사한 미사일은 1발로, 250여㎞를 비행하다가 원산에서 70~80㎞ 떨어진 동쪽 해상에서 공중 폭발했다”고 설명했다. 북한은 또 사흘 연속으로 오물풍선을 살포했다. 합참은 26일 밤 “북한이 대남 오물풍선(추정)을 또다시 부양하고 있다”며 “현재 풍향이 북서풍으로 경기 북부 지역에서 남동방향으로 이동 중”이라고 밝혔다. 전날 살포된 오물풍선으로 운항 중인 항공기 엔진에 이물질이 빨려 들어갈 우려가 있어 26일 새벽 1시 46분부터 4시 44분까지 약 3시간 동안 인천국제공항 항공기의 이착륙이 중단되거나 지연됐다.

이날 한반도 상공에는 ‘세계 최강’ 전투기인 미 공군의 F-22 ‘랩터’ 스텔스 전투기도 떴다. 공군에 따르면 랩터를 비롯해 한국의 F-35A와 KF-16, 미 F-16 등 4·5세대 전투기 30여대가 이날 한반도 동쪽 지역에서 연합 공중훈련을 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