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집단 절반 지주사 체제…현대백화점·OCI·동국제강 신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파크원타워에서 바라본 강북 지역 일대. 멀리 대기업 사옥으로 쓰이는 빌딩들이 보인다. 김현동 기자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파크원타워에서 바라본 강북 지역 일대. 멀리 대기업 사옥으로 쓰이는 빌딩들이 보인다. 김현동 기자

국내 ‘대기업집단’의 절반 정도가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대기업집단의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을 유도하고 있다. 지주회사 체제가 되면 지배구조가 단순하고 투명해져 경영 감시가 용이하고 계열사간 위기 전이를 막을 수 있다는 판단이다.

26일 공정거래위원회가 발표한 ‘2024년 공정거래법상 지주회사 및 기업형 벤처캐피탈 현황 분석·공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말 현재 대기업집단 88개 가운데 43개가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돼 있다. 대기업집단 중 지주회사와 소속 자·손자·증손회사 자산 총액이 전체 계열사 자산총액의 50% 이상인 경우 지주회사 체제로 인정 받는다. 지주회사란, 주식 소유를 통해 국내 회사의 사업내용을 지배하는 것을 주된 사업으로 하면서 자산총액이 5000억원 이상인 회사를 뜻한다.

지주회사 체제인 대기업집단 수는 2016년 8개에서 꾸준히 늘었다. 갈수록 대기업집단 지정 규모를 늘리면서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을 유도하는 노력이 더해진 결과다. 전체 대기업집단 중 지주회사 체제 집단의 비율을 보면 2018년 3분의 1 수준에서 올해 2분의 1 정도로 높아졌다.

신재민 기자

신재민 기자

전년의 지주회사 체제 대기업집단 수(38개)와 비교하면 올해 5개가 추가됐다. 기존의 대기업집단에 속해 있던 현대백화점과 OCI, 동국제강 등 3개가 새롭게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했다. 원래 지주회사 체제이면서 대기업집단은 아니었던 원익과 파라다이스 등 2개는 올해 대기업집단으로 지정되면서 ‘지주회사 체제인 대기업집단’의 규모를 키웠다. 직전년도 대차대조표상 자산이 5조원 이상이면 경제력 집중 억제 목적으로 대기업집단에 지정된다.

현재 국내의 모든 지주회사 수는 174개에 달한다. 지주회사에 소속된 자·손자·증손회사는 총 2462개인데, 지주회사별로 평균 14.2개의 소속회사를 지배하고 있다. 전체 지주회사의 평균 부채비율은 43.2%로 공정거래법상 상한(200%)을 여유롭게 충족했다. 지주회사의 재무 건전성이 대체로 높다는 의미다. 지주회사와 그 자회사가 보유한 자회사·손자회사의 평균 지분율도 각각 69.0%와 83.3%로 양호했다. 공정거래법에선 상장된 자회사·손자회사 지분을 30% 이상 보유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비상장사의 경우 50% 이상이어야 한다. 낮은 지분율로 지배력을 과도하게 확대하지 않도록 막을 목적이다.

지주회사 체제인 대기업집단 가운데선 SK가 눈길을 끈다. 보유한 지주회사 수가 전년 6개에서 7개로 증가하며 국내 최다 자리를 지켜서다. 그 다음으로 많은 지주회사를 보유한 대기업집단은 HD현대와 세아인데, 각각 SK의 절반도 안 되는 3개에 그쳤다.

공정위가 지난달 발표한 ‘2024년도 대기업집단 지정 결과’ 자료에 따르면 올해 SK가 거느린 계열사 총 수(219개)도 대기업집단 중 가장 많았다. 2위인 카카오(128개)와 비교하면 2배 가까운 수치다. 삼성(63개), 현대차(70개), 현대차(70개)와 비교하면 차이는 더 벌어진다.

SK는 주로 인수·합병을 통해 기업 규모를 키워왔기 때문에 계열사 수가 많아진 측면이 있다. 또한 SK가 주력하고 있는 에너지·환경 부문의 경우 인·허가 편의를 위해 지역 기반으로 회사들을 세우다 보니 계열사 증가로 이어졌다는 분석도 나온다. 최근 SK는 “계열사 수가 관리 가능한 범위를 벗어났다”는 판단 아래 대대적인 구조조정을 추진하기 시작했다.

김영희 디자이너

김영희 디자이너

관련기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