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명 호수에 다리 담갔다가…주먹만한 물집 뒤덮여 '충격'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사진 데일리 메일 캡처

사진 데일리 메일 캡처

프랑스 유명 호수에 다리를 담근 모녀가 다음 날 다리에 테니스공만한 물집이 생기는 피해를 입었다. 의료진은 ‘식물성광피부염’으로 추정했다.

21일(현지시간) 데일리메일 등 외신에 따르면 지난 9일 알바나 타누시라는 여성이 6세 딸과 함께 프랑스의 관광지인 ‘부르제 호수’를 찾았다. 이 호수는 프랑스에서 가장 아름다운 자연 호수 중 하나로 꼽힌다.

당시 모녀는 날씨가 쌀쌀하다고 느껴 호수에서 수영은 하지 않은 채 다리만 담갔다. 다음 날 아침 잠에서 깬 모녀는 깜짝 놀랐다. 두 사람 모두 다리가 빨갛게 달아오르고 노란 물집으로 뒤덮였다.

의료진은 이들이 식물성광피부염(phytophotodermatitis, 피부에 묻은 식물 화학 물질이 햇빛에 노출되면서 발생하는 피부 반응)에 걸렸을 것으로 진단했다.

여기서 끝나지 않았다. 이후엔 물집이 생겼고, 이 물집은 주먹만큼 커졌다. 모녀는 현지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물집 중 하나하나가 눈앞에서 부풀어 오르는 것이 보였다. 이게 정말 내 다리일까 생각이 들었다”며 “고통스럽고 따끔거렸다. 온몸이 빨갛게 물들었다”고 말했다.

모녀는 병원에서 모르핀 성분의 크림을 처방받았다. 이후 물집은 가라앉았지만 여전히 흉터가 남았고 건조한 상태가 지속됐다고 이들은 전했다.

사진 데일리 메일 캡처

사진 데일리 메일 캡처

식물성광피부염이란 ‘푸로쿠마린(Furocoumarin)’ 성분이 포함된 식물에 피부를 접촉한 후 자외선에 노출했을 때 생기는 광독성 피부질환의 일종이다. 이 물질은 태양광선 아래서 여러 화학반응을 일으킨다.

푸로쿠마린 성분은 라임이나 레몬, 셀러리, 무화과 등에도 함유돼 있다. 따라서 라임을 짜다가 즙이 손에 튄 뒤 손등이 강한 햇볕에 노출됐을 때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증상은 사람마다 다르지만 주로 큰 물집이 생기거나 붉어짐, 가려움, 통증 등이 나타난다. 자외선에 노출된 뒤 48시간이 지나면 눈에 띄게 나타난다. 회복하는 데는 보통 일주일 정도 걸리지만, 몇 개월간 지속되는 경우도 있다. 치료 이후에는 갈색의 색소침착이 남는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선 푸로쿠마린 성분이 들어있는 식물에 닿을 경우 바로 닦아내고, 외출 시 모자나 토시 등 자외선을 차단하는 옷을 입는 게 도움이 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