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정부지 치솟는 예식장 비용…중앙박물관 등 공공기관 개방

중앙일보

입력

결혼식 웨딩 촬영을 하고 있는 한 커플. AFP=연합뉴스

결혼식 웨딩 촬영을 하고 있는 한 커플. AFP=연합뉴스

결혼 비용이 천정부지로 치솟는 가운데 청년층 부담 완화를 위해 정부가 공공기관 48곳을 예식공간으로 추가 개방한다. 내년부턴 사방이 탁 트인 국립중앙박물관 야외 공간을 무료로 대관해 결혼식을 치를 수 있게 된다. 기획재정부는 26일 경제관계장관회의 통해 이같은 내용의 ‘청년 맞춤형 예식 공간 제공방안’을 발표했다.

기재부에 따르면 정부는 기존 국·공유시설 91개소에 48개소를 추가로 개방해 총 139개소 공간을 예식장으로 제공하기로 했다. 국립중앙박물관(서울), 국립민속박물관(서울), 국립중앙도서관(서울), 국립현대미술관(과천), 중앙교육연수원(대구) 등 국립 공공기관뿐만 아니라 각 지역 국립공원과 세종 호수공원, 청주 미동산수목원 등 국립·지자체 시설도 개방한다.

공공기관 예식공간 사용료는 무료거나, 유료여도 대부분 50만원 이내다. 다만 이용 가능한 기간이나 요일, 수용인원 등이 제한된 경우가 많다. 예컨대 오는 9월 개방되는 내장산 국립공원 단풍생태공원에선 11만5000원으로 이용할 수 있지만, 9~10월 2개월간 토요일에만 이용이 가능하다. 내년 3월부터 이용이 가능한 국립민속박물관은 사용료가 5만원에 불과하지만, 피로연 이용이 불가능하다. 국립현대미술관은 수용인원이 50명에 불과하다. 다만 민간 예식장보다 훨씬 저렴하기 때문에 선호도는 높을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2027년말까지 200개소 이상을 목표로 개방 확대를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대국민 의견수렴을 통해 청년이 원하는 공간을 발굴해 추가 개방한다. 지자체 업무평가 지표에도 공공 예식공간 확산 노력·성과를 반영한다. 우수 지자체 포상에도 마찬가지로 공간 개방 기관을 우대하기로 했다.

앱 ‘공유누리’를 통한 통합예약 서비스도 구축한다. 지금까진 각 기관에서 예식공간을 제공할 뿐, 예비부부들이 원하는 지역에 어떤 공간이 개방돼 있는지 한 번에 검색하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공간 특성이나 이용 조건 등 상세한 안내가 부족하다는 불만도 있었다.

이에 공유누리를 통해테마지도 서비스를 신설해 중앙·지자체·공공기관의 예식 가능한 시설을 지도 기반으로 검색할 수 있도록 하고, 카카오 등과 협의해 민간 플랫폼에도 공공 예식공간 예약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국공립시설을 예식공간으로 제공할 경우 사용룔르 감면할 수 있도록 하는 법적 근거도 마련한다.

정부 관계자는 “결혼서비스 시장의 건전한 발전과 소비자 권리 보장을 위해 현재 진행 중인 실태조사와 의견수렴 결과를 토대로 연내 결혼 서비스 가격 공개 방안도 마련할 계획이다”이라고 밝혔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