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가철 앞두고 환전수수료 경쟁…카카오뱅크까지 가세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여름 휴가철을 앞두고 금융사의 환전 수수료 경쟁이 격화되고 있다. 토스뱅크와 4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우리‧하나)에 이어 카카오뱅크까지 수수료 없는 환전 서비스를 도입하면서 환전 경쟁에 참전했다.

(서울=뉴스1) = 오보현 카카오뱅크 외환캠프 서비스오너가가 25일 서울 서초구 부띠크모나코에서 열린 '달러박스 프레스톡'에서 신규 외환 서비스 '달러박스'를 소개하고 있다. 뉴스1

(서울=뉴스1) = 오보현 카카오뱅크 외환캠프 서비스오너가가 25일 서울 서초구 부띠크모나코에서 열린 '달러박스 프레스톡'에서 신규 외환 서비스 '달러박스'를 소개하고 있다. 뉴스1

카톡으로 달러 선물 가능

카카오뱅크는 15일 기자간담회를 열고 신규 외환 서비스인 달러박스를 공개했다. 달러박스는 달러를 보유할 수 있는 온라인 지갑으로, 카카오뱅크 계좌가 있는 성인은 누구나 만들 수 있다. 최대 보유 한도 1만 달러인 달러박스에 달러를 입금하거나 원화로 출금할 때 수수료는 1년간 면제된다. 신한은행 외화 ATM에서 하루 최대 600달러까지 수수료 없이 출금도 가능하다.

카카오톡과 연계해 친구에게 달러를 선물로 보낼 수 있는 기능도 추가했다. 오보현 카카오뱅크 외환캠프 서비스오너는 “달러를 언제든 선물할 수 있다는 게 카카오뱅크의 차별점”이라며 “수수료를 받지 않는 대신 고객이 맡긴 달러를 운용해 수익을 낼 계획”이라고 말했다. 카카오뱅크는 다음 달 8일까지 달러박스를 개설한 모든 고객에게 1달러를 지급하는 이벤트도 진행한다.

4대 은행에 토스·카카오뱅크까지 경쟁

박경민 기자

박경민 기자

환전 수수료를 없애는 건 최근 은행업계의 트렌드다. 토스뱅크는 지난 1월 환전 수수료 평생 무료를 전면에 내세워 외환 서비스를 출시했다. 외화통장을 개설하면 17개 통화를 수수료 없이 환전할 수 있도록 했다. 신한·KB국민·우리은행 등이 뒤따라 외화 환전 수수료 면제에 뛰어들면서 환전 고객 유치에 들어갔다.

외화 환전과 해외결제 수수료까지 0원으로 낮추면서 은행권에선 손해가 더 커지는 ‘역마진’ 우려까지 나온다. 그렇지만 환전 혜택을 통해 고객을 유치해야 예·적금, 대출 등 다른 상품 수익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본다. 자사 고객 이탈을 막는 ‘락인 효과’도 있다. 특히 최근 해외여행 증가를 젊은층이 주도한다는 것도 은행 입장에선 장기 고객 확보에 유리한 점이다.

4대 시중은행은 계열 카드사를 통해 여행 때 사용하기 좋은 트레블카드를 출시하고 환전 수수료 면제 혜택을 제공하는 게 특징이다. 각 은행이 모두 비슷한 서비스를 내놓다 보니 차별화하기 위해 무료 환전 가능한 통화도 점차 늘리는 추세다. 하나은행은 환전 가능 통화를 58종까지 늘리기로 했고, KB국민은행과 신한은행은 각각 56종, 42종으로 확대한다.

해외 관광 증가세에 출혈경쟁 가속

박경민 기자

박경민 기자

한국관광통계에 따르면 지난 1분기 해외로 나간 여행객은 742만5000명으로, 2019년 같은 분기(786만4000명) 수준으로 회복했다. 코로나19로 해외여행이 급격히 감소했다가 지난해부터 회복세가 본격화하면서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늘어날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이 같은 상황에서 환전 수수료 혜택에서 뒤처질 경우 고객 외면을 받을 것이란 은행업계 위기감이 작용하고 있다는 풀이가 나온다.

환전 상품 특성상 수수료 외엔 차별화하기 어렵다는 특징이 있는 만큼 은행 입장에선 외화 환전을 통한 수익이 급감할 전망이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제 살 깎아 먹기 출혈경쟁이라는 비판이 나오는 것으로 안다”며 “그렇다고 해도 젊은층 중심으로 환전 수요가 늘어나는 상황에서 환전 고객을 놓치면 예·적금 등 다른 부분에까지 고객이 빠져나갈 수 있다는 우려 때문에 어쩔 수 없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