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반하장 러시아 "한국, 북∙러조약 이해심 갖고 수용해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정부 고위 당국자가 러시아도 참석한 국제회의에서 최근 체결된 북·러 간 '포괄적인 전략적 동반자 관계에 관한 조약'(이하 북·러 조약)과 관련해 "안보리 결의 위반"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러시아는 자국 매체를 통해 "한국이 북·러 조약을 차분히 받아들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푸틴 러시아 대통령(왼쪽)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 19일 평양 에서 정상회담 뒤 서명한 조약을 들어 보이는 모습. 타스. 연합뉴스.

푸틴 러시아 대통령(왼쪽)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 19일 평양 에서 정상회담 뒤 서명한 조약을 들어 보이는 모습. 타스. 연합뉴스.

"북·러 조약은 결의 위반"

25일 외교부에 따르면 정병원 차관보는 전날 이란 테헤란에서 개최된 아시아협력대화(ACD) 외교장관 회의에서 안드레이 루덴코 외무부 차관과 조우했다. 지난 19일 북·러 조약 체결 이후 외교부 1차관의 주한 러시아 대사 초치 외에 한·러 고위당국자가 별도로 조우한 건 처음이다. 그러나 양측이 만난 시간은 아주 잠시였다고 한다.

정 차관보는 이날 회의의 한국 측 수석대표로서 국가별 발언을 통해 "북·러 조약 체결 등 북한의 군사적 능력을 증강하는 어떤 직·간접적 행위도 관련 안보리 결의를 위반하는 것"이라며 "ACD 회원국을 포함한 국제사회가 국제 안보와 평화에 위해가 되는 모든 행위에 대해 단호히 대처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정 차관보는 또 "최근 북한의 지속적 도발에 따른 엄중한 한반도 상황도 설명했다"고 외교부는 전했다.

정병원 외교부 차관보가 24일(현지시간) 이란 테헤란에서 열린 제19차 아시아협력대화(ACD) 외교장관회의에 한국 수석대표로 참석해 모두발언을 하는 모습. 외교부.

정병원 외교부 차관보가 24일(현지시간) 이란 테헤란에서 열린 제19차 아시아협력대화(ACD) 외교장관회의에 한국 수석대표로 참석해 모두발언을 하는 모습. 외교부.

"차분히 이해심 갖고 수용하라" 

다만 이날 같은 회의에 참석한 루덴코 차관은 정 차관보의 발언에 아무런 반응을 하지 않았다고 한다. 대신 그는 자국 매체인 스푸트니크 통신을 통해 25일 "한국이 북·러 조약을 차분히 받아들이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루덴코 차관은 또 "한국이 새 협의를 이해심을 갖고 수용하길 기대한다"며 "그러면 러시아와의 관계를 포함해 건실한 접근이 힘을 얻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러시아가 북한과 불법 군사 협력을 법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한 조약까지 마련해 놓고 한국을 향해선 "이해심을 가지라"는 적반하장 식 태도를 이어간다는 지적이다.

루덴코 차관은 이어 "북·러 조약은 한국을 비롯한 제3국을 겨냥한 것이 아니다"라면서도 "한반도와 역내 전체 문제를 군사적 수단으로 해결하기를 바라거나 그럴 계획이 있는 국가들에 보내는 일종의 경고"라고 주장했다. 이는 북한의 위협에 대응해 합법적이고 방어적으로 이뤄지고 있는 한·미, 한·미·일 연합 훈련 등을 겨냥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는 발언이다.

안드레이 루덴코 러시아 외무부 차관. 타스. 연합뉴스.

안드레이 루덴코 러시아 외무부 차관. 타스. 연합뉴스.

'레드라인' 사이 두고 기 싸움 

한·러가 지난 19일 북·러 정상회담 이후 서로를 향해 "레드라인을 넘지 말라"고 경고하며 기 싸움을 지속한다는 분석이다. 대통령실이 지난 20일 우크라이나에 대한 무기 지원 재검토 방침을 밝히자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무기 지원이 이뤄지면 큰 실수"(지난 21일)라고 맞받았다. 이어 장호진 국가안보실장은 지난 23일 "러시아가 고도의 정밀 무기를 북한에 준다고 하면 우리에게 더는 어떤 선이 있겠는가"라며 재차 대러 경고의 수위를 높였다.

이런 분위기의 연장 선상에서 한국이 이날 회의에서 러시아의 면전에서 "안보리 결의 위반"을 지적하고 러시아는 뒤로 자국 매체를 통해 여론전을 펼치며 '대결 국면'을 이어간다는 지적이다. 한편 이날 한·러 고위 당국자의 조우가 이뤄진 ACD는 2002년 태국 주도로 창설된 아시아 국가 간 협의체며 현재 의장국은 이란이다. 이날 회의를 통해 정 차관보는 지난달 불의의 사고로 서거한 이란 대통령과 외교장관에 대해 애도의 뜻을 전하기도 했다.

지난 19일 평양 김일성 광장에서 이뤄진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환영식. 노동신문. 뉴스1.

지난 19일 평양 김일성 광장에서 이뤄진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환영식. 노동신문. 뉴스1.

이런 가운데 북·러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러시아 답방 분위기도 띄우고 있다. 루덴코 차관은 이날 스푸트니크 인터뷰에서 "모든 필요한 조건이 맞을 때 (김정은의 방러가)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노동신문도 이날 1면에 푸틴이 귀국 후 김정은에게 보낸 감사 전문을 공개했다. 해당 전문에서 푸틴은 김정은에게 "당신은 러시아 땅에서 언제나 기다리는 귀빈이라는 것을 잊지 않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