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 한국 반발 달래기 "북러 조약, 韓 겨냥한 것 아니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러시아 정부가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체결한 새 군사 원조 조약(포괄적인 전략적 동반자 관계 조약)이 한국을 겨냥한 것이 아니라고 밝혔다. 북·러 조약 이후 한국 정부가 우크라이나에 대한 무기 지원을 재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밝히자 러시아가 한국 달래기에 나선 모습이다.

25일(현지시간) 러시아 스푸트니크 통신에 따르면 안드레이 루덴코 외무부 차관은 이번 조약과 관련해 "한반도 및 역내 전체 문제를 군사적 수단으로 해결하기를 바라거나 그럴 계획이 있는 국가들에 보내는 일종의 경고"라고 말했다.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20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러시아 연방 사이의 포괄적인 전락적 동반자 관계에 관한 조약'이 조인됐다″라면서 ″김정은 동지께서 푸틴 동지와 함께 조약에 서명했다″라고 보도했다. 평양 노동신문=뉴스1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20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러시아 연방 사이의 포괄적인 전락적 동반자 관계에 관한 조약'이 조인됐다″라면서 ″김정은 동지께서 푸틴 동지와 함께 조약에 서명했다″라고 보도했다. 평양 노동신문=뉴스1

루덴코 차관은 이번 조약이 한국이나 제3국을 겨냥하지 않았다고 강조하면서 "이미 어려운 동북아 지역 상황을 악화하려는 것은 아니다"라고 전했다. 이어 "한국이 이해심을 갖고 이를 수용하길 기대한다"며 "러시아와의 관계를 포함, 건전한 접근이 힘을 얻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지금의 긴장을 이용해 동맹국 영토에 기지와 미사일 체계를 배치하는 건 미국이다"며 미국을 콕 찍어 비난했다.

앞서 지난 19일 북·러 조약이 체결된 뒤 한국과 러시아 간에는 날선 반응이 오갔다. 한국이 "우크라이나 무기 지원을 재검토할 수 있다"고 언급하자, 푸틴 대통령은 "무기 지원은 큰 실수"라고 맞받았다. 장호진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은 지난 23일 "러시아가 고도의 정밀 무기를 북한에 준다면 우리에게 더는 어떤 선이 있겠는가"라며 경고했다.

한편 김 위원장의 러시아 답방에 대해 루덴코 차관은 "모든 필요한 조건이 맞으면 방문이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단, 구체적인 시점은 언급하지 않았다. 푸틴 대통령은 이날 북한 노동신문 1면 등에 실린 '감사전문'을 통해서도 "당신은 러시아 땅에서 언제나 기다리는 귀빈이라는 것을 잊지 않기를 바란다"며 김 위원장에 대한 초청 의사를 밝혔다.

안드레이 루덴코 러시아 외무차관. 타스=연합뉴스

안드레이 루덴코 러시아 외무차관. 타스=연합뉴스

만일 답방이 이뤄지면 북·러 정상간 네 번째 만남이 된다. 두 정상은 2019년 러시아 연해주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처음으로 정상회담을 했다. 두 번째 만남은 지난해 9월 러시아 아무르주 보스토치니 우주기지에서 이뤄졌다. 이어 지난 18~19일 푸틴 대통령이 북한을 국빈 방문하면서 세 번째 정상회담이 성사됐다.

중국, 북·러 밀착에 불만…"미국, 이 점 활용해야" 

이런 가운데 미국 학계에서는 밀착하는 북·러에 대응하기 위해 미국·한국 등 동맹국들이 '중국 카드'를 적극적으로 써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북·러가 결속하면서 곤란한 입장이 된 중국의 불만을 활용하자는 취지다.

24일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가 개최한 '전례 없는 위협: 러시아와 북한의 동맹' 팟캐스트 방송에 참여한 빅터 차 CSIS 한국 석좌는 "조 바이든 대통령은 (북·러 밀착으로 인한) 중국의 불만(unhappiness)을 활용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차 석좌는 "중국은 여전히 북한의 경제적 생명선이며, 무기 거래를 지원하는 모든 기업에 대한 제재에 동참할 수 있기 때문이다"고 전했다.

CSIS 중국 전문가 주드 블란쳇은 이날 "김정은과 푸틴은 중국의 역내 관계에 혼란을 만들었다"면서 "중국은 한동안 이를 수습하려고 노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그는 특히 푸틴 대통령이 베트남을 방문한 것을 예로 들며 "푸틴은 베트남과 지속 가능한 안보 구조를 만들기 위해 협력하겠다고 했는데 그것은 (중국 입장에서는) 중국의 일"이라고 말했다.

빅터 차 미국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한국 석좌. 연합뉴스

빅터 차 미국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한국 석좌. 연합뉴스

그는 "중국은 곤란한 상황에 직면해 있다"면서 "중국이 새 북러 관계의 축을 끊으려고 할지, 아니면 한국과 관계를 강화하면서 이(북러 밀착)를 우회할지 모르나, 어떤 것도 (중국에) 좋은 선택지는 아니다"고 말했다.

이어 "미국·한국·일본·유럽은 (북한에 첨단 무기를 주지 않도록) 러시아를 설득하는 데 있어 중국을 도울 방법을 찾아야 한다"면서 "단, 결과적으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전쟁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지 않는 방식으로 하도록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