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화문에 100m 태극기·꺼지지않는 불꽃 선다…국가상징공간 조성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서울시가 중구 광화문광장 일대에 국가상징공간을 조성한다. [사진 서울시]

서울시가 중구 광화문광장 일대에 국가상징공간을 조성한다. [사진 서울시]

서울 광화문광장에 100m 높이의 태극기 게양대가 들어선다. 또 애국·불멸을 상징하는 ‘꺼지지 않는 불꽃’도 만든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25일 오전 제74주년 6·25를 맞아 광화문 국가상징공간 조성 계획을 발표했다. 오 시장은 이 계획을 인천상륙작전과 9·28 서울 수복 등에서 헌신한 참전용사 7명을 초청한 간담회 자리에서 공개했다.

서울시, 국가상징공간 조성 계획 발표

6·25전쟁 74주년을 맞아 오세훈 서울시장이 25일 오전 서울시청에서 열린 참전용사와의 간담회에서 광화문광장 내 국가상징공간 조성 계획을 밝히고 있다. [연합뉴스]

6·25전쟁 74주년을 맞아 오세훈 서울시장이 25일 오전 서울시청에서 열린 참전용사와의 간담회에서 광화문광장 내 국가상징공간 조성 계획을 밝히고 있다. [연합뉴스]

광화문 국가상징공간은 대한민국 정체성과 상징성을 고스란히 간직한 국가상징 조형물로 채운다. 미국 워싱턴DC 내셔널 몰에 있는 ‘워싱턴 모뉴먼트’나 프랑스 파리 샹젤리제 거리의 ‘에투알 개선문’, 아일랜드 더블린 오코넬 거리의 ‘더블린 스파이어’처럼 역사·문화·시대적 가치를 갖춘 조형물이다.

서울시는 광화문광장이 경복궁을 중심으로 전통이 살아 숨 쉬는 역사적 장소이자, 세계인이 모여드는 글로벌 문화예술 중심지임을 고려했다. 서울시는 “광화문광장은 소통·자유·호국으로 대변하는 주체적 시민의식이 발현한 곳으로 국가상징공간을 만들기에 안성맞춤”이라고 설명했다.

이 공간에 들어서는 첫 국가상징 조형물은 태극기다. 태극기는 3·1운동과 서울 수복, 1987년 6월 항쟁 등 대한민국 국민과 역사를 함께한 상징이다.

6·25 직후 최빈국이던 한국이 국제사회를 선도하는 위상과 정체성을 갖춘 상황을 예술적으로 표현한 조형물에 태극기를 접목한다. 서울시는 단순한 국기 게양대가 아닌 예술성과 첨단기술력을 집약한 작품으로 만들 계획이다. 국가 행사 때는 먼 거리에서도 위용을 확인할 수 있는 빛기둥과 미디어 파사드(15m 내외)·미디어 플로어 등으로 연출한다.

서울시가 중구 광화문광장 일대에 국가상징공간을 조성한다. [사진 서울시]

서울시가 중구 광화문광장 일대에 국가상징공간을 조성한다. [사진 서울시]

국격 대표 장소로 광화문광장 선정 
대형 조형물 앞에는 두 번째 상징물인 꺼지지 않는 불꽃을 설치한다. 기억·추모를 상징하는 불을 활용해 일상에서 호국 영웅을 기리고 추모하며 국가의 영속을 기원하는 역할을 한다. 국기 게양대와 꺼지지 않는 불꽃 건립 예산은 총 110억원이다.

국가상징공간 부지 옆 세종문화회관 북측 세종로 공원도 30여년 만에 시민 여가 공간으로 재탄생한다. 광화문광장과 연결해 일체화한 녹지공간으로 조성하며, 광장 주변에 편의시설도 마련해 특색있는 콘텐트를 선보인다.

옥상 공간을 녹지로 덮어 시민이 도심에서 휴식·여유를 즐길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야외 숲속 레스토랑을 비롯해 지상·지하 안내센터, 시민휴게소 등 공용공간도 마련한다.

서울시는 국가상징공간과 조형물, 세종로 공원 통합 설계 공모를 오는 8∼11월 추진한다. 2025년 4월까지 기본·실시 설계 후 5월 착공할 계획이다. 국가상징공간은 2026년 2월, 세종로 공원은 2026년 11월 준공 예정이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6·25 참전용사의 숭고한 희생·헌신을 기리기 위해 광화문광장에 국가상징시설을 건립하기로 했다”며 "모든 국민이 자긍심을 느낄 수 있는 공간으로 만들겠다”라고 말했다.

6·25전쟁 74주년을 맞아 오세훈 서울시장이 25일 오전 서울시청에서 열린 참전용사와의 간담회에서 광화문광장에 국가상징공간을 조성하겠다는 계획을 밝히고 있다. [연합뉴스]

6·25전쟁 74주년을 맞아 오세훈 서울시장이 25일 오전 서울시청에서 열린 참전용사와의 간담회에서 광화문광장에 국가상징공간을 조성하겠다는 계획을 밝히고 있다. [연합뉴스]

한편 광화문광장 태극기 상시 설치는 광복 70주년이던 2015년 국가보훈처가 추진한 적이 있다. 당시 박원순 시장이 이끄는 서울시 시민위원회가 국민 정서에 맞지 않는다며 반대했다. 이번에도 지난달 서울시의회에서 대형 국기게양대 설치를 허용하는 조례가 통과하자 문화연대는 "시대착오적 사고방식"이라고 지적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