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업 중 진짜 커플됐다" 다른 대학도 광클…난리난 연애강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건강한 남녀 관계, 함께 고민하자

전남대학교 한 강의실에서 교양 과목 '연애의 첫 단추'의 마지막 수업이 진행되고 있다. 이 강의는 교양 과목 개발 공모전을 통해 지난해 2학기 개설됐다. 황희규 기자

전남대학교 한 강의실에서 교양 과목 '연애의 첫 단추'의 마지막 수업이 진행되고 있다. 이 강의는 교양 과목 개발 공모전을 통해 지난해 2학기 개설됐다. 황희규 기자

지난 13일 오후 광주광역시 전남대캠퍼스 한 강의실. 3학점짜리 교양 과목인 ‘연애의 첫 단추’ 수업이 시작됐다. 수업 10분 전부터 수강생 84명이 자리를 꽉 채웠다.

이날 수업은 ‘데이트 결과 발표’였다. 여섯 커플 학생이 나서 학기 동안 데이트한 뒤 소감 등을 차례로 소개했다. 커플은 지난 3월 학기 초에 제비뽑기로 정했다. 수강생 84명 가운데 남자가 40명, 여자가 44명이었다. 남학생이 부족하자 여학생 4명은 동성끼리 데이트했다고 한다. 이들은 학기 중에 3차례 데이트했다. 만난 장소는 캠퍼스나 카페·놀이공원·국립아시아문화전당 등 시민이 즐겨 찾는 곳이었다. 강의를 담당한 한의숭 교수는 “학생들이 많은 돈을 쓰지 않고 데이트를 할 수 있는 곳을 권했다”라고 말했다.

“수업하다 커플이 됐습니다”

전남대학교 한 강의실에서 교양 과목 '연애의 첫 단추'의 마지막 수업이 진행되고 있다. 이 강의는 교양 과목 개발 공모전을 통해 지난해 2학기 개설됐다. 황희규 기자

전남대학교 한 강의실에서 교양 과목 '연애의 첫 단추'의 마지막 수업이 진행되고 있다. 이 강의는 교양 과목 개발 공모전을 통해 지난해 2학기 개설됐다. 황희규 기자

발표에 나선 학생들은 데이트하면서 손편지도 주고받고, 은반지 커플링도 만들었다고 했다. 만나면서 MBTI(성격 테스트) 결과도 공유했다. 이날 발표를 하던 한 커플은 “여기서 잠깐! 고백할 게 있습니다”며 “우리는 진짜 커플이 됐습니다”라고 알렸다. 이에 학생들은 손뼉을 치며 축하했다. 이 커플은 “(발표하는) 우리는 각자 다른 친구들과 연애를 하다가 수업하면서 이렇게 됐다”고 말해 웃음을 자아냈다. 또 다른 커플은 “데이트 조 뽑기를 할 때는 대학 합격자 발표 때보다 더 떨렸다”라며 “대학 와서 처음으로 이성이랑 벚꽃 구경을 한 것은 잊지 못할 순간”이라고 소감을 밝혔다.

학생 아이디어에 개설 

사진 전남대 트위터 캡처

사진 전남대 트위터 캡처

전남대는 지난해 2학기에 이 과목을 개설했다. 대학측은 교양 과목 개발 공모전을 통해 강의 아이디어를 얻었다고 하다. 대학 관계자는 “건강한 남녀 관계나 인간관계 등을 학생 스스로 생각해 볼 수 있는 과목이 있었으면 좋겠다는 학생 의견이 제시됐다”고 말했다. 이에 이 대학 인문학연구원 교수들이 강의 내용을 구성했다. 한의숭 교수는 “과목 이름도 학생 아이디어”라고 했다. 대학 관계자는 “남녀가 데이트하는 수업은 전국에서 '연애의 첫 단추' 과목이 유일할 것 같다”라고 설명했다.

이 강좌는 연애와 혼전 동거, 데이트 폭력 등 다양한 남녀 관계 관련 주제를 다룬다. 가스라이팅과 같은 사회적 문제도 조별 발표 등으로 해법을 모색하기도 했다. 학생들은 “타인을 대하는 방법, 새로운 사람과 함께 어려움을 이겨내는 방법 등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이 과목은 토론과 조별 발표 등으로만 학점을 부여하고 별도 중간·기말고사는 없다.

수강 신청에 수백명 몰려 

전남대학교 한 강의실에서 교양 과목 '연애의 첫 단추'의 마지막 수업이 진행되고 있다. 이 강의는 교양 과목 개발 공모전을 통해 지난해 2학기 개설됐다. 황희규 기자

전남대학교 한 강의실에서 교양 과목 '연애의 첫 단추'의 마지막 수업이 진행되고 있다. 이 강의는 교양 과목 개발 공모전을 통해 지난해 2학기 개설됐다. 황희규 기자

학교측에 따르면 ‘연애의 첫 단추’는 이 대학에서 인기 과목으로 꼽힌다. 대학 관계자는 “강의 성격과 내용이 특이한 데다 시험도 보지 않아서 그런지 수백명이 수강을 희망했다”고 말했다. 또 실제 데이트할 기회를 얻고 싶어 수강한 학생도 있다고 한다. 강의가 인기를 끌자 전남 지역 다른 대학에서 교환학생 프로그램에 지원한 학생도 있다. 박정준(23·순천대 2학년)씨는 “연애를 하며 감정적 교류를 하는 경험을 하고 싶어 수강을 신청했다”라고 말했다.

학생들은 “연애와 데이트, 사회 문제를 다룬 토론을 통해 경험도 하고 지식도 얻는 계기가 됐다”고 말했다. 1학년 양희수(19)양은 “남만 바라보고 평가하다가 나 자신도 되돌아보게  된 것 같다”고 했다.

정미라 인문학연구원장은 "'연애의 첫단추' 인기에 힘입어 다음 학기에는 '실패해도 괜찮아'라는 또 다른 교양 과목을 개설할 계획"이라며 "학생들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파악, 다양한 과목을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