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복도에서 서성이는 與…"7개 받아야"vs"타협 안 돼" 팽팽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국민의힘이 21일 의원총회를 열어 국회 상임위 복귀 여부를 두고 격론을 벌였으나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추경호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20일 오전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비대위 회의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전민규 기자.

추경호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20일 오전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비대위 회의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전민규 기자.

이날 국회에서 2시간가량 비공개로 열린 국민의힘 의총에서는 16명의 의원이 발언자로 나섰다. 의총 내내 찬반 의견은 한쪽에 쏠리지 않고 팽팽했다고 한다. 더불어민주당은 지난 10일 법제사법위원회를 포함한 11개 상임위원장을 단독 선출했다. 국민의힘은 이에 반발해 남은 7개 상임위원장 배분과 상임위 참여를 열흘 넘게 보이콧하고 있다.

의총장에서는 보이콧이 길어지는 데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왔다. 영남권 초선 의원은 민주당 주도로 열린 채상병 특검 입법청문회를 예로 들면서 “숫자는 밀려도 상임위 안에서 우리의 주장을 펼쳐야 여론전으로 맞설 수 있다”고 주장했다. “상임위원장 보이콧은 민주당 좋은 일밖에 안 된다”는 의견을 낸 중진 의원도 있었다. 또 다른 초선 의원은 “민주당의 독단에 대한 불만도 높지만, 여당의 무책임과 무기력을 비판하는 목소리도 적지 않다”며 “현실을 인정하고 들어가서 싸우자”고 공개 발언했다.

반면 민주당이 ‘법사위와 운영위를 여야가 1년씩 나눠 맡자’는 여당의 타협안을 거절한 것에 대한 비토도 적지 않았다고 한다. 한 재선 의원은 “의회민주주의를 파괴하는 민주당과의 협상은 말이 안 된다”며 “민주당이 상정한 각종 법안의 본회의 표결 전까지 투쟁을 이어가야 한다”고 말했다. 수도권 재선 의원도 통화에서 “상임위에 들어가지 말자는 여론이 여전히 많았다. 안에서 싸운다고 더 잘 싸운다는 법은 없다”고 했다.

여러 의견을 들은 추경호 원내대표는 “여전히 아주 강한 입장을 견지하는 분들도 다수 있었고, 우리가 여당으로서 ‘책임 있는 활동 자세를 보일 때가 됐다’는 말을 한 분들도 다수 계셨다”며 “24일 의총에서 최종적인 방향을 정하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당내 여론이 엇갈리면서 실리와 명분 사이에 선 원내 지도부의 고민은 깊어지는 모양새다. 여야 원내대표는 이날 오후 우원식 국회의장 주재로 회동했지만, 법사위와 운영위원장 배분을 두고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추 원내대표는 회동 후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민주당은 오만함을 버리지 못하고 단 한 치도 물러서지 않고 있다”며 “주말 시간에 더 대화를 지속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국민의힘 안팎에서는 ‘추 원내대표가 7개 상임위원장 수용과 상임위 복귀에 책임을 지고 사퇴 카드를 던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앞서 21대 국회 상반기 원 구성 협상을 맡았던 주호영 당시 원내대표가 “제1야당이 맡아온 법사위를 못 지켜냈다”며 협상 중 사퇴 의사를 밝힌 전례가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