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북·러 교류, 역내 평화·안정에 기여해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방북에 대해 중국은 19일 북·러 양국이 “정상적인 교류·협력과 관계를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날 린젠 외교부 대변인은 “중국은 북·러가 우호적인 가까운 이웃으로 교류·협력하고 관계를 발전시킬 정상적인 필요를 갖고 있다”고 밝혔다. 북·러 정상회담의 필요성을 인정하는 듯한 취지의 발언이다. 린 대변인은 “(러시아와 북한의) 관련 고위층 교류는 두 주권국가가 협의한 것”이라며 “중·한이 처음으로 (18일 서울에서) 차관급 외교안보 대화를 한 것은 양국 관계 발전의 필요에 착안해 일찍이 합의한 것으로 다른 나라 사이의 교류와 특별한 관련은 없다”고 말했다. 북·러 정상회담 시점에 맞춰 한·중이 서울에서 회동한 건 특별하게 여기지 말라는 취지다.

그러나 중국 측의 이 같은 공식 반응에도 불구하고 중국의 속내를 놓곤 다른 관측이 나온다. 앞서 18일 첫 차관급 한·중 외교안보 대화에서 중국 측은 “북·러 간 교류가 역내 평화와 안정에 기여하기를 바란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한국 외교부가 공개했다. 중국 정부는 그간 북·러 밀착에 대해 “양자 간의 일” “관계 발전은 환영한다”며 중립적 태도를 취했던 만큼 처음으로 사실상 우려를 표명한 것으로 볼 여지가 있는 대목이다. 중국 당국이 북·러의 불법 거래와 밀착에 대해 ‘역내 평화·안정 기여’를 희망한다고 언급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이 때문에 중국 정부가 북·러 간 밀착을 경계하는 시선을 한국 외교부를 통해 내비쳤다는 해석이 나온다. 특히 중국 측 발언이 한국 측 보도자료에 포함된 건 중국도 공개를 묵인한 것으로 볼 여지가 있어 미묘하다. 통상 외교 회담 후 상대방의 발언을 전할 땐 최소한 상대방이 반대하지 않아야 가능하다.

관련기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