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JoongAng Plus 전용 콘텐트입니다.

영상을 보고 싶다면
지금 바로 시작하기

보유하신 이용권이 있으신가요? 

부모님 치매에 걸렸다면? 집안에서 이곳은 불 꺼라

  • 카드 발행 일시2024.06.14

부모님이 치매 판정을 받았다면, 자녀들은 당장 무엇을 준비해야 할까

65세 이상 노인 10명 중 1~3명이 치매를 앓는 시대. 가족 중에 치매 환자가 발생하면 가족 전체의 삶이 흔들린다. 하지만 절망감에 빠져 있을 시간이 없다. 당장 준비해야 할 일이 많기 때문이다. 간병 관련한 수많은 의사 결정부터 각종 국가 지원 서비스의 장단점 파악까지 모두 보호자 몫이다.

지난 14년간 치매 환자를 진료한 최호진(대한치매학회 정책이사) 한양대 구리병원 신경과 교수는 “우리나라 복지 체계가 (치매 환자에게 필요한) 모든 걸 명쾌하게 정리해주지 않는다”며 “의료 기관에서 알려주지 않는 것을 보호자들이 직접 나서서 챙겨야 한다”라고 조언한다. 최 교수는 치매 환자 가족이 각종 국가 지원 서비스를 신청하는 방법, 유·무형의 지원 제도를 선택하는 요령 등을 인터뷰에서 자세히 소개했다.

최호진 한양대 구리병원 신경과 교수가 중앙일보와 인터뷰하고 있다. 영상 캡처

최호진 한양대 구리병원 신경과 교수가 중앙일보와 인터뷰하고 있다. 영상 캡처

예를 들어, 치매 환자에게 가장 큰 도움이 된다는 ‘노인장기요양보험’을 신청할 때 유의할 점은 뭘까. 꼭 보호자만 신청할 수 있을까. 국내법상 치매는 '장애'로 인정받지 못한다. 그렇다면 치매 관련 돌봄 비용은 공제를 받을 수 있을까. 만약 가능하다면 어떤 절차를 거쳐야 할까.

수급자 선정 과정에서 등급 판정에 불만을 갖는 이들도 많다고 한다. 유리한 등급 판정을 받으려면 선정 과정에서 어떤 요령이 필요할까. 등급 선정 이후 각 등급별로 누릴 수 있는 서비스와 시설도 제각각이다. 요양병원과 요양원은 이름은 비슷하지만, 전혀 다른 시설이다. 또 시설들은 ‘노치원’이라 불리는 주간보호센터와 어떤 차이가 있을까. 가격이 비싼 시설이 무조건 좋을까. 아니면 집에서 가까운 게 최선일까.

인터뷰에선 그밖에 요양보호사 방문 서비스, 현금 급여, 복지 용구 지원 등을 선택할 때 환자 가족이 최우선으로 삼아야 할 기준도 상세히 다룬다.

목차

1. ‘장애’ 인정 못 받는 치매, 미리 챙겨야 할 국가 지원 넷
2. 치매 지원 등급, 원하는 만큼 못 받는 이유
3. 요양원은 가까운 게 최고? 요양 시설 선택할 때 유의할 점
4. “이곳 불 끄고 생활하라” 치매 실종 막는 법

앞서 인터뷰 상편 〈이게 건망증이야? 치매야? ‘이것’ 주면 구별할 수 있다〉 에선 노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기억력·판단력 저하 같은 증상이 모두 치매로 이어지는지, 치매 의심 증상과 진짜 치매 감별법을 비롯해 치매 전 단계로 불리는 경도인지장애 대처법 등을 실제 치매와 비교해 다뤘다. 이 밖에 치매 환자의 가족이 가져야 할 마음가짐은 무엇인지, 치매 전문가의 솔직한 경험담과 조언을 담았다.

치매, 환자 가족이 해야 할 일

상편: 이게 건망증이야? 치매야? ‘이것’ 주면 구별할 수 있다〈上〉
하편: 부모님 치매에 걸렸다면? 집안에서 이곳은 불 꺼라〈下〉 

※아래 텍스트는 인터뷰 영상 스크립트입니다.

부모님 치매 진단 시, 환자 가족이 명심할 것은.

우선 치매 환자의 주요 증상과 치료법을 비롯해 환자들이 초·중·말기 겪는 과정을 공부해야 한다. 둘째로 ‘공공서비스의 적절한 이용’이다. 의료기관이나 치매안심센터에서 설명해 주지만, 우리나라 복지 체계가 알다시피 치매 진단받았다고 (필요한) 모든 걸 명쾌하게 한 번에 정리해 주지 않는다. 아쉽지만 보호자들이 일일이 찾아다니며 필요한 공공서비스를 확인하고 신청해야 한다. 지원이 충분하지 않더라도, 치매 돌봄 부담을 홀로 짊어지지 말고 적절히 배분하는 게 중요하다.

The JoongAng Plus 전용 콘텐트입니다.

중앙 플러스 지금 할인 받고, 구독하기!
지금 바로 시작하기

보유하신 이용권이 있으신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