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운동가 백용성 스님의 유훈 "종속국 되지 말고 주인국 되라"

독립운동가 백용성 스님의 유훈 "종속국 되지 말고 주인국 되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젊었을 때는 자신의 해탈을 위해 용맹정진하셨고, 일제에 나라를 빼앗기자 독립운동가가 되셨다.”

지리산 자락인 전북 장수의 죽림정사에서 13일 독립운동가 백용성 스님(1864~1940)의 유훈을 따르는 ‘한반도 평화와 국민 통합을 기원하는 만인대법회’가 열렸다. 이날 대법회에는 무려 1만 명의 대중이 모였다. 정토회 회원들을 비롯해 용성 스님의 유훈에 공감하는 이들이었다. 정세균 전 총리와 주호영 의원 등 정치인들과 소설가 김홍신, 방송작가 노희경 등 문화계 인사들도 많이 보였다.

용성 스님의 손상좌인 도문 스님이 법상에 올라 법문을 하고 있다. 이날 만인대법회에는 정토회 회원을 비롯해 1만여 명이 모였다. 장수=백성호 기자

용성 스님의 손상좌인 도문 스님이 법상에 올라 법문을 하고 있다. 이날 만인대법회에는 정토회 회원을 비롯해 1만여 명이 모였다. 장수=백성호 기자

특설 무대 양쪽에는 플래카드가 큼지막하게 걸렸다. ‘강대국의 종속국이 되지 말고 주인국이 되어라’ ‘대한정국의 주인이 되어 세계평화를 선도하라.’ 일제 치하에서 누누이 강조했던 용성 스님의 가르침이다.

용성 스님의 손상좌인 도문 스님(죽림정사 조실)은 법상에 올라서 스승의 깨달음을 법어로 풀었다. 박남수 전 천도교 교령은 “용성 조사께서 만주에 독립운동 기지를 건설하고자 한 일은 독립운동사에 대서특필해야 할 일”이라며 “저 역시 ‘용성 조사께서 계셨기에 3ㆍ1 만세 운동이 민족운동으로 나아갈 수 있었다’고 3ㆍ1 독립운동 100주년 기념사에서 말한 바 있다”고 밝혔다.

용성 스님은 쌀가마니에 돈을 담아 상하이 임시정부에 독립자금으로 보내기도 했다. 해방 직후 귀국한 백범 김구는 이런 사실을 회고하며 눈물을 흘린 바 있다. 사진 백용성조사기념사업회

용성 스님은 쌀가마니에 돈을 담아 상하이 임시정부에 독립자금으로 보내기도 했다. 해방 직후 귀국한 백범 김구는 이런 사실을 회고하며 눈물을 흘린 바 있다. 사진 백용성조사기념사업회

도문 스님의 상좌인 법륜 스님(정토회 지도법사)은 이웃 종교를 비롯한 각계 대표와 함께 ‘만인평화선언’을 했다. “남은 북으로 북한 정권을 비판하는 전단을 날리고, 북은 남으로 오물 풍선을 보낸다. 힘에 의한 평화만 고집하면 전쟁의 위기가 높아진다. 대화를 통한 평화도 생각해야 한다. 남북 대화의 재개가 필요하다”며 한반도 평화를 위한 해법을 제시했다. 아울러 북한을 향해서도 “하루빨리 핵을 동결하고 대화의 장으로 나와야 한다”고 촉구했다.

백용성 스님은 천도교 손병희 교주와 함께 3ㆍ1 독립선언을 주도했다. 서대문 형무소에서 2년 2개월 옥고도 치렀다. 출옥 후 일제의 감시가 심해지자 용성 스님은 만주 북간도로 가서 독립운동을 계속했다. 중국 연길에서 수백만 평 규모의 땅을 매입해 농장을 세우고 독립운동가들의 근거지로 삼았다. 직접 삼귀의 오계를 주었던 윤봉길을 상하이 임시정부로 보낸 이도 용성 스님이었다.

일제 식민 치하에서 용성 스님은 감시 대상 인물이었다. 용성 스님의 출가 전 속명이 백상규다. 사진 백용성조사기념사업회

일제 식민 치하에서 용성 스님은 감시 대상 인물이었다. 용성 스님의 출가 전 속명이 백상규다. 사진 백용성조사기념사업회

1932년 윤봉길 의사의 상하이 훙커우 의거에서 일본군 상하이 파견군 사령관이 즉사했다. 당시 국민당 총통 장제스는 “중국의 100만 대군도 하지 못한 일을 조선의 한 청년이 했다니 정말 대단하다”라고 칭송했다.

도문 스님은 “이 일을 계기로 장제스가 조선에 관심을 갖고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지원하는 계기가 됐다”며 “용성 스님은 제2차 국공합작 이듬해인 1938년에 장제스를 만나 조중연합군 창설을 제안했다. 당시 용성 스님은 자신이 윤봉길을 파견한 사람이라고 소개했다”고 증언했다.

실제 용성 스님이 장제스와 마오쩌둥을 만나 조중연합군 창설을 논의할 때 통역을 한 사람이 임철호다. 전라도 만석꾼 집안의 아들인 임철호는 도문 스님의 부친이다. 그러나 일제가 심어놓은 밀정의 배신으로 용성 스님의 독립운동 조직은 일망타진됐다.

조직이 괴멸됐다는 소식을 듣고서 용성 스님은 “나의 할 바를, 도리는 다 마쳤도다. 기묘년(己卯年, 1939년)에 절단이 나버렸구나. 그러나 이 절단 난 씨앗이, 다가오는 다음 기묘년에는 우리나라 ‘대한정국’ 800년 국운을 맞이하는 해가 될 것이다”라고 유훈을 남겼다. 이듬해 용성 스님은 입적했다.

법륜 스님이 만인대법회에서 대한민국의 큰 숙제인 평화와 통합을 강조하고 있다. 장수=백성호 기자

법륜 스님이 만인대법회에서 대한민국의 큰 숙제인 평화와 통합을 강조하고 있다. 장수=백성호 기자

'한반도 평화와 국민 통합을 기원하는 만인대법회'에서 참가자들은 용성 스님의 유훈을 되새겼다. 장수=백성호 기자

'한반도 평화와 국민 통합을 기원하는 만인대법회'에서 참가자들은 용성 스님의 유훈을 되새겼다. 장수=백성호 기자

당시 용성 스님은 60년 후에 대한민국이 독립은 물론이고 아주 부강한 나라가 될 것이라 내다봤고, 다시 25년 후에는 대한민국의 800년 대운이 열리는 해가 될 것이라고 예견했다. 법륜 스님은 “올해가 바로 그 해다. 우리는 과거를 기념하는데 머물지 말고, 대한민국이 처한 현실을 극복해야 한다”고 만인대법회의 의미를 짚었다.

장수=백성호 종교전문기자 vangogh@joongang.co.kr

관련 기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