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의원까지 노리는 개딸…"野전대, 이재명 외엔 아무도 안 보여"

중앙일보

입력

차기 당 대표와 지도부를 선출하는 8·18 전당대회를 두 달여 앞두고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연임을 바라는 강성 지지층이 대의원 표 확보에 돌입했다.

대의원 모집 게시판을 신설한 재명이네 마을 .재명이네 마을 캡처

대의원 모집 게시판을 신설한 재명이네 마을 .재명이네 마을 캡처

민주당은 17일까지 지역위원회별로 대의원을 선출할 예정이다. 이 대표 지지자가 모인 ‘재명이네 마을’에선 지난 10일부터 ‘대의원 모집 게시판’을 만들어 대의원 후보로 나설 이들의 추천인 서명을 받고 있다. 대의원 후보로 나서기 위해선 권리당원 10명의 추천이 필요하다. 12일 현재 대의원 추천이 진행 중인 지역구는 서울 서대문을과 부산 기장, 경기 고양병 등 23개다. 카페 매니저는 “지금은 모두가 마음을 모아야 할 때”라며 “여기엔 지지층만 있는 것이 아니니 신중하게 대의원을 추천해달라”는 공지글을 올렸다.

대의원은 민주당에 소속된 국회의원과 지역위원장, 선출직 대의원 등으로 구성되는데 전당대회에서 영향력이 크다. 민주당이 지난 12월 7일 전당대회에서 대의원 투표반영 비율을 낮췄음에도 대의원 한 명당 권리당원 20명에 달하는 비중을 갖고 있다.

이 대표 연임을 위한 ‘당 대표 선거 캠프’ 구성도 초읽기에 들어갔다. 민주당 관계자는 12일 “과거 경선 캠프 지역 조직들이 물 밑에서 움직이기 시작했다”며 “이 대표의 결단만 남았다”고 전했다. 만약 이 대표가 전당대회에 재출마하고 연임에 성공하면, 민주당 대표로선 김대중 전 대통령 이후 24년 만의 연임 대표가 된다. 이 대표가 재출마하려면 7월 초로 예상되는 후보 등록 기간 전에 대표직에서 물러나야 한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2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에서 박찬대 원내대표와 대화하고 있다. 전민규 기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2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에서 박찬대 원내대표와 대화하고 있다. 전민규 기자

이런 분위기 속에 이 대표의 경쟁자는 전무하다시피 하다. 전당대회가 목전이지만 비명계는 조용하다. 계파색이 옅은 한 수도권 의원은 “이 대표 외에 대안이 전혀 안 보인다”며 “의원들 사이에서도 '이 대표가 한 번 더 하는 게 낫지 않겠냐'는 의견이 팽배하다”고 말했다. 다른 재선 의원도 “최고위원에 나서려는 비주류 의원조차도 찾아보기 힘들다”며 “현 지도부와 이견조차 내기 힘든 게 현실”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날 열린 당무위에선 ‘당 대표 사퇴시한’ 예외규정 신설이 의결됐다. 당 대표가 대선에 출마하려면 선거일 1년 전 사퇴하도록 한 당헌 규정에 ‘특별하고 상당한 사유가 있을 땐 달리 정할 수 있다’는 단서를 추가하는 개정안은 오는 17일 당 중앙위원회를 통과하면 확정된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지난해 7월 27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제408회국회(임시회) 제2차 본회의에서 김영진(가운데), 조정식 의원과 대화를 하고 있다. 뉴시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지난해 7월 27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제408회국회(임시회) 제2차 본회의에서 김영진(가운데), 조정식 의원과 대화를 하고 있다. 뉴시스

그간 당에서는 예외 조항 신설에 대한 우려가 끊이지 않았다. 이 대표 최측근인 ‘7인회’ 출신 김영진 의원이 “이 조항을 수정함으로써 잃는 국민적 신뢰가 훨씬 더 크다”며 공개적으로 반대한 게 대표적이다. 이 대표의 정무조정부실장 출신인 김지호 부대변인은 전날 채널A 유튜브에서 “(김 의원은) 쓴소리에서 끝내지 마시고 그런 생각을 가지셨으면 8월 전당대회에 나오시면 된다”며 “자신이 지도부를 형성하고 밀고 나가면 된다”고 맞받았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