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호 “의대 증원해도 교육 질 떨어지는 일 없을 것”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10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의대 교수, 국립대병원장 등 의학교육 전문가들과 함께 의대교육 선진화를 위한 함께차담회를 하고 있다. 교육부 제공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10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의대 교수, 국립대병원장 등 의학교육 전문가들과 함께 의대교육 선진화를 위한 함께차담회를 하고 있다. 교육부 제공

10일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의과대학 교수와 국립대 병원장 등과 만난 자리에서 “의대 정원이 늘어났다고 의대 교육의 질이 떨어지는 일은 결코 없을 것이다”고 말했다. 이 부총리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의대 교육 선진화를 위한 함께 차담회'를 열고 “27년 만에 의대 정원 증원이 이뤄진 지금, 현장에서 의대 교육이 제대로 될 것인지 우려하는 목소리들이 있는 점을 잘 알고 있다”며 이 같이 밝혔다.

전날 정부가 9월까지 의대 교육 선진화 방안을 발표하겠다고 밝힌 데 따른 의견 수렴 계획도 내놨다. 이 부총리는 “앞으로 의대교육 선진화 방안을 확정하기까지 의과대학의 시설, 기자재, 교육과정, 교원, 연구 등 분야별・주제별로 꼼꼼하게, 의과대학의 구성원, 의학교육 전문가와 다양한 방식으로 소통하고 충분한 의견 수렴을 하겠다”고 했다. 교육부 관계자는 “앞으로 의대교육 선진화 방안에 대해 주제별로 논의를 정례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부총리는 의대 증원에 반대하는 구성원들의 협조를 호소하기도 했다. 그는 “모든 의대가 자율적으로 학교의 강점, 지역 여건 등을 바탕으로 특화된 분야에서 세계적 수준의 교육·연구를 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지원 방안을 마련할 것”이라며 “지금보다 더 나은 의학 교육 및 연구 환경을 만들어 지역 완결적 필수 의료체계에 필요한 의료인을 양성하고, 나아가 세계적 의과학자, 글로벌 의료기업가도 배출하는 선진화된 의학 교육을 만드는 것은 결코 정부가 독자적으로 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이어 “의대생, 전공의, 의대 교수 등 의료계 모든 분이 돌아와 지혜를 모아 주셔야 한다”고 덧붙였다.

전문가들 “의대 교육 격차 해소”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학생, 충남대학교병원 전공의들이 지난달 30일 충남대학교 대학본부 앞에서 의대증원 반대 시위를 하고 있다. 뉴스1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학생, 충남대학교병원 전공의들이 지난달 30일 충남대학교 대학본부 앞에서 의대증원 반대 시위를 하고 있다. 뉴스1

차담회에선 교수 채용, 시설 증축 등 의대 교육을 둘러싼 현실적인 문제, 전공의 교육 강화 방안, 지역 의대 교육 격차 등 다양한 주제가 오간 것으로 알려졌다.

교수 확보는 정부가 의대 증원을 발표한 이후 줄곧 가장 시급한 문제로 꼽혔다. 내년도 의대 신입생이 1540명 늘어날 예정이지만 기초의학 교수의 수는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라서다. 전국 34개 의대 기준 기초의학 교수 수는 1131명으로, 임상의학 교수 수(8876명)의 12% 정도에 불과하다.

교육 공간인 실습실도 부족하다. 단적인 예로 신입생 정원이 49명이었던 충북대 의대는 올해 126명을 선발하고 이듬해에는 200명까지 신입생이 늘어날 예정이지만 현재 실습실은 8곳뿐이다. 해부학 실습에 사용되는 카데바 부족 문제도 언급된다. 교육계 관계자는 “일부 대학에선 기증되는 카데바가 많지만 한편으로는 시신 1구에 20명이 달라붙어 실습하기도 한다”고 말했다.

교육부는 교수 신규 채용을 곧바로 진행할 수 있도록 8월까지 대학별 교수 정원을 가(假)배정하고, 시설과 기자재 확충 역시 예비타당성 조사를 면제해 속도를 낼 계획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