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지막 시장’ 아프리카에 주목…“핵심광물 협력·성장잠재력 기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한·아프리카 정상회의를 계기로 양국의 경제협력 분위기가 고조되고 있다. 산업계는 성장 잠재력이 큰 아프리카를 ‘마지막 시장’으로 주목한다. 미·중 갈등 등 지정학적 리스크가 심해지면서 핵심 광물이 풍부한 아프리카와 협업 중요성은 점점 더 커지고 있다.

4일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아프리카에는 2차전지 등 청정에너지 산업에 꼭 필요한 핵심 광물 및 소재가 풍부하다. 지난해 세계 광물 생산량 대비 아프리카 생산량을 보면 백금(77.2%), 망간(61.0%), 코발트(43.9%), 인광석(23.5%), 천연흑연(12.6%) 등으로 나타났다.

중국에 대한 핵심 광물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서는 아프리카 국가들과 협업을 확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지난해 한국은 산업용 광물의 95%를 수입했다. 흑연·니켈·코발트 등에서 중국 의존도가 높다. 배터리 업계는 미국 정부가 2026년 말부터 핵심 광물을 해외 우려기업에서 조달할 수 없게 하겠다고 발표하며 중국산의 대체재를 찾는 게 시급한 상황이다. 중국은 아프리카에 일찌감치 진출해 핵심 광물 자원을 확보해왔고, 최근 미국·일본·유럽연합(EU) 등도 중국 견제 차원에서 아프리카 진출을 본격화하고 있다. 박태성 한국배터리산업협회 상근부회장은 “이번 한·아프리카 정상회의가 배터리 핵심광물 공급망 다변화를 위한 좋은 기회가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박경민 기자

박경민 기자

성장 잠재력이 큰 ‘젊은 대륙’이란 점도 아프리카의 강점이다. 아프리카의 경제성장률은 올해 3.8%, 내년 4.1%를 기록할 전망이다.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 상위 20개국 중 11개국이 아프리카 국가(니제르 11.2%, 세네갈 8.2%, 리비아 7.9% 등)이다. 인구는 현재 14억8000만 명으로 전 세계의 18.3% 수준이다. 중위 나이는 19세로 한국(45.1세)은 물론 전 세계 평균(30.7세)보다 낮다.

지리적으로는 유럽 및 중동과 맞닿아 있고 미주 대륙, 인도 등과 해상교역이 가능하다. 새로운 수출시장으로 부상하는 ‘글로벌 사우스’의 핵심이기도 하다. 글로벌 사우스란 기존 제3세계·개발도상국으로 불리던 국가들의 새로운 분류로, 북반구 고위도에 있는 선진국을 칭하는 ‘글로벌 노스’와 대비되는 개념이다.

산업계에서는 광물뿐 아니라 신재생에너지, 소비재 제조업, 정보통신기술(ICT) 등 분야에서도 아프리카와 협력이 유망하다고 본다. 한국경제인협회의 ‘한·아프리카 신산업 협력분야와 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아프리카 내 자동차·휴대전화·가전제품 등 소비재 구매력을 갖춘 중산층이 성장하고 있고, 부족한 인프라 보완을 위해 금융·의료·농업 등 산업 전반에 걸친 모바일 ICT 기술 활용이 활발하다.

4일 오전 서울 광화문광장 세종대로 일대에 2024 한·아프리카 정상회담 배너가 걸려있다. 연합뉴스

4일 오전 서울 광화문광장 세종대로 일대에 2024 한·아프리카 정상회담 배너가 걸려있다. 연합뉴스

LG화학은 모로코에서 리튬·철·인산(LEP) 양극재 공장을 짓고 있다. 현지에서 원재료인 인광석을 손쉽게 공급받을 수 있고, 모로코는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해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혜택을 받을 수 있어서다. 효성중공업은 한·아프리카 정상회의를 계기로 이날 서울에서 모잠비크 국영 전력청인 EDM과 428억원 규모의 모잠비크 전력망 강화 사업 계약을 체결했다. 2029년까지 모잠비크에 있는 220㎸(킬로볼트)급 초고압 변압기 14기를 교체 및 증설 공급하고, 노후화된 변전소의 설비 개선 및 용량 증대도 수행할 예정이다.

다만 아프리카의 성장세에도 아직 한국과 협력은 저조한 편이다. 지난해 한국 교역 규모에서 아프리카가 차지하는 비중은 1.3%에 불과했다. 무엇보다 전력 부족과 열악한 도로 등 기초 인프라가 갖춰지지 않았다는 점이 걸림돌이다. 크고 작은 분쟁들이 발생하는 정치·사회적 불안정도 리스크다.

서상현 포스코경영연구원 수석연구원은 “민간 기업이 홀로 아프리카 광물 등을 개발하기엔 리스크가 크고 기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정부 지원이 필수적”이라며 “각 국가와 경제동반자협정(EPA) 등을 체결해 통상협력을 강화하면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경협은 “우리 기업들의 아프리카 투자와 진출이 확대될 수 있도록 정책금융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