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숙 여사 단독외교 아닌 특별수행원 신분…기내식 한끼 44만원"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2018년 11월 김정숙 여사(왼쪽 둘째)가 인도 타지마할 방문 당시 도종환 문화체육관광부 장관(김 여사 오른쪽), 신봉길 주인도대사 내외와 얘기를 나누고 있다. [뉴스1]

2018년 11월 김정숙 여사(왼쪽 둘째)가 인도 타지마할 방문 당시 도종환 문화체육관광부 장관(김 여사 오른쪽), 신봉길 주인도대사 내외와 얘기를 나누고 있다. [뉴스1]

‘셀프 초청’ 논란이 끊이지 않는 문재인 전 대통령 부인 김정숙 여사의 2018년 인도 방문과 관련해 ‘기내식 비용 6292만원’이 새 쟁점으로 부상했다.

배현진 국민의힘 의원이 공개한 김 여사의 2018년 11월 4~7일 인도 방문 당시 문화체육관광부와 대한항공의 수의계약서에 따르면 대표단 36명의 기내식비로 6292만원이 소요됐다. 연료비(6531만원) 다음으로 많은 액수였다. 36명이 네 끼 기내식을 먹었다면 한 명이 끼니당 43만7000원짜리 식사를 한 셈이다. 공무원 여비 규정에서 인도는 ‘나’군에 속하며, 식비는 1일 136달러(18만8000원·장관급)다.

당시 동행한 도종환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의 출발 이틀 전 출장계획서엔 규정대로 1인당 식비 544달러(136달러×4일)가 책정됐다. 출장 인원 19명의 식비는 총 6184달러(692만원)였다. 계획서상 식비보다 실제 기내식비가 10배 더 많이 지출된 것이다. 인원도 김 여사가 합류하면서 17명이 추가됐다.

당초 논란은 김 여사의 인도행이 ‘셀프 초청’이라는 점이었다. 배현진 의원에 따르면 허 왕후(가야 김수로왕의 비) 기념공원 착공식을 위해 2018년 9월 인도 측이 먼저 강경화 외교부 장관 초청 의사를 밝혔지만, 일정상 불발되자 도종환 장관을 초청했다. 그런데 10월 중순 청와대가 인도 측에 “김 여사를 초청해 달라”고 요청했고, 이에 인도 정부는 10월 26일 나렌드라 모디 총리 명의의 초대장을 보냈다.

당시 문화체 육관광부와 대한항공의 대통령 전용기 수의계약 산출내역서. [사진 배현진 의원실]

당시 문화체 육관광부와 대한항공의 대통령 전용기 수의계약 산출내역서. [사진 배현진 의원실]

문 전 대통령은 최근 회고록 『변방에서 중심으로』에서 “나로서는 인도를 또 가기 어려워 고사했더니 인도 측에서 ‘그렇다면 아내를 대신 보내 달라’고 초청하더라”고 주장했는데, 이런 내용과는 어긋나는 대목이다.

김 여사가 인도 방문 마지막 날인 11월 7일 타지마할을 찾은 점도 논쟁거리다. 배 의원에 따르면 타지마할 방문은 사전 일정에는 없었고 이후 출장보고서에도 실리지 않았다. 문재인 청와대는 당시 브리핑에서 “타지마할 방문은 인도 측의 강력한 요청 때문”이라면서도 “넉 달 전 인도 국빈 방문 당시 김 여사가 ‘다시 인도에 오면 타지마할에 꼭 갈 것’이라고 언급했다”고 설명했다. 문체부는 인도 방문 13일 뒤 대한항공과 계약을 수정했다. 박수영 국민의힘 의원이 입수한 변경계약서에 따르면 타지마할 운항 일정이 추가되면서 1911만원(총비용 2억1699만원→2억3610만원)이 더 소요됐다. 박 의원은 “기내식에 이어 전용기 비용에 2000만원 가까이 쓴 혈세 관광”이라고 지적했다.

김 여사의 인도 방문을 놓고 문 전 대통령은 회고록에서 “영부인의 첫 단독 외교라고 보는 게 정확하다”고 썼다. 하지만 인도 방문 정부대표단에서 도 장관이 대표단장, 공식 수행원은 주 인도 대사 부부였다. 김 여사는 특별수행원 자격이었다. 김 여사의 단독 외교에 도 장관이 공식 수행원으로 동행했다는 민주당 기존 설명과 거리가 있다. 여권 관계자는 “영부인의 단독 외교라더니 수행원 신분으로 외유한 것 아니냐”고 지적했다.

김 여사 일행이 탑승한 공군 2호기(대통령 전용기)에 대통령 휘장이 달린 점도 문제다. 대통령 공고 7호 ‘대통령 표장(휘장)에 관한 건’에 따르면 대통령 휘장은 대통령이 탑승하지 않는 전용기에는 달 수 없다.

윤상현 국민의힘 의원은 3일 ‘김정숙 여사 특별검사법’을 대표 발의한다. 김 여사의 ▶인도 방문 관련 직권남용·배임 ▶옷값 특수활동비 사용 ▶청와대 경호원 수영 강습 ▶단골 디자이너 양모씨 행정관 부정 채용 ▶문다혜-양씨 대가성 금전 거래 등 다섯 가지 의혹이 수사 대상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