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년차 이미숙 놀란 '설계자' 현장…'흑미남' 강동원, 이렇게 필사적일 줄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영화 '설계자'에서 사고사를 조작하는 설계자로 변신한 주연 배우 강동원을 개봉(6월 5일) 전 서울 삼청동 카페에서 만났다. 사진 AA그룹

영화 '설계자'에서 사고사를 조작하는 설계자로 변신한 주연 배우 강동원을 개봉(6월 5일) 전 서울 삼청동 카페에서 만났다. 사진 AA그룹

초인(‘초능력자’), 도사(‘전우치’), 퇴마사(‘검은 사제들’ ‘천박사퇴마연구소’)에 이어 청부살인 설계자다. 배우 강동원(43)이 새 영화 ‘설계자’(6월 5일 개봉)에서 청부살인을 완벽한 사고사로 조작하는 ‘삼광보안’ 대표 영일이 됐다.

내달 5일 개봉 영화 '설계자' #주연 강동원 "신선함에 끌려 #사이코패스 같은 삭막함 좋았죠"

언뜻 황당한 음모론 같지만, 살인 각본을 위해 타깃의 생활 습관, 동선, 기상 상황까지 파악하는 치밀한 범행 장면이 관객을 설득시킨다. 베니스영화제 경쟁부문에 초청됐던 홍콩 누아르 거장 조니 토(杜琪峰‧두기봉) 사단 영화 ‘엑시던트’(2009)가 토대다. 데뷔작 ‘범죄의 여왕’(2016)에서 고시원 살인사건을 감각적으로 구성한 이요섭 감독이 각본‧연출을 겸했다.

강동원 "소시오패스 같은 캐릭터 끌렸죠"

이요섭 감독의 영화 '설계자'(6월 5일 개봉)는 의뢰받은 청부 살인을 완벽한 사고사로 조작하는 설계자 ‘영일’(강동원)과 그의 팀원들이 예기치 못한 사건에 휘말리는 이야기를 그렸다. 사진 NEW

이요섭 감독의 영화 '설계자'(6월 5일 개봉)는 의뢰받은 청부 살인을 완벽한 사고사로 조작하는 설계자 ‘영일’(강동원)과 그의 팀원들이 예기치 못한 사건에 휘말리는 이야기를 그렸다. 사진 NEW

“신선한 시나리오와 캐릭터에 끌렸다”는 강동원을 24일 서울 삼청동에서 만났다. 그는 영일을 “약간 소시오패스 같은 인물, 팀원들에 대한 집착도 있고 가스라이팅도 하는 캐릭터”라고 설명했다. ‘설계자’는 그가 칸 영화제 초청작 ‘브로커’(2022)의 평범한 청년, 지난해 추석 흥행 1위 ‘천박사 퇴마 연구소’의 사기꾼 퇴마사 역할 사이에 만난 작품. “삭막한 캐릭터를 연기하고 싶던 시기였다”면서 “영일이 아무도 못 믿고 점점 미쳐가며 뭐가 진실인지 모르게 되는 감정 변화가 좋았다. 내 안의 냉철함을 극대화해 연기했다”고 말했다.

검찰총장 후보 사고사…사이버 래커 음모론

'설계자'(6월 5일 개봉)에는 정치 거물인 검찰총장 후보(김홍파)의 청부살인 사건도 담긴다. 취재진의 카메라 앞에서 사고사를 위장하는 까다로운 과정을 그렸다. 사진 NEW

'설계자'(6월 5일 개봉)에는 정치 거물인 검찰총장 후보(김홍파)의 청부살인 사건도 담긴다. 취재진의 카메라 앞에서 사고사를 위장하는 까다로운 과정을 그렸다. 사진 NEW

착착 진행되던 범죄 설계는 영일이 검찰총장 후보 살해를 의뢰받으면서 혼란에 빠진다. 의뢰인은 바로 타깃의 딸. 이 부녀를 뒷조사하던 그는 오래 전 죽은 동료 ‘짝눈’(이종석)의 사고사에 거대 비밀 조직 ‘청소부’가 연루돼 있다고 확신한다. 우연이 세 번 이상 겹친 사고사는 조작이라는 게 그의 직관. 사이버 래커(이슈몰이로 돈벌이하는 유튜버)들이 가세하면서 음모론이 커져간다.

이런 불신 사회에서 짝눈이 인간답게 살려고 발버둥 쳤다면, 영일은 집착과 의심을 키워간다. 전날 언론시사 후 간담회에서 이요섭 감독은 “이종석이 ‘백미남’이라면, 강동원은 ‘흑미남’”이라며 “진실을 알려고 할수록 수렁에 빠지는 현대 사회의 무기력함”이 영화의 주제라고 설명했다.

이요섭 감독의 영화 '설계자'(6월 5일 개봉)에는 배우 이종석(오른쪽부터)이 영일(강동원)의 회상장면 속 죽마고우 '짝눈'으로 특별 출연했다. 사진 NEW

이요섭 감독의 영화 '설계자'(6월 5일 개봉)에는 배우 이종석(오른쪽부터)이 영일(강동원)의 회상장면 속 죽마고우 '짝눈'으로 특별 출연했다. 사진 NEW

실제 영화도 설명해주는 게 많지 않다. 캐릭터 배경은 거의 드러나지 않는다. 미궁에 빠지는 결말도 관객에 따라 답답하게 느껴질 수 있다.

빈틈을 채워 넣는 건 배우들 몫이었다. 참전 트라우마로 마약중독이 된 베테랑 재키(이미숙), 성전환 수술을 꿈꾸는 변신의 귀재 월천(이현욱), 어린 나이에 자식을 둔 막내 점만(탕준상) 등 팀원들의 기본 캐릭터 설정에 스스로 살을 붙여봤다. 강동원은 “가족 없이 짝눈과 어릴 때부터 단둘이 자란 영일”의 삶을 나름대로 머릿속에 그려나갔다. “앵벌이 같은 걸 하다 어딘가 끌려가 지금의 일을 배웠을 거예요. 삶에 희망이 없는 사람, 이름 없이 무덤에 묻힐 것 같은 ‘깡통’(어떤 기록도 세상에 남아있지 않은 존재)들을 찾아 팀원을 ‘캐스팅’했을 거라 상상했죠."

이미숙 "강동원 영화에 이토록 필사적일 줄야"

‘설계자’는 이미숙의 스크린 복귀작이다. 영화 ‘군산: 거위를 노래하다’(2018) 특별출연 이후 6년 만이다. 연기경력 45년의 그는 주연급 스타 강동원의 필사적인 연기에 놀라움을 표했다. 사진 NEW

‘설계자’는 이미숙의 스크린 복귀작이다. 영화 ‘군산: 거위를 노래하다’(2018) 특별출연 이후 6년 만이다. 연기경력 45년의 그는 주연급 스타 강동원의 필사적인 연기에 놀라움을 표했다. 사진 NEW

강동원은 “촬영 내내 혼자서만 생각한 내용이다. 어제 배우들과 회식하면서 처음 얘기하니까 다들 그렇게까지 상상도 못 했다더라”며 웃었다. “저는 늘 그렇게 해요. 다음 작품 기회가 오길 원하니까요. 이미숙 선배는 제가 그렇게 생각하는 데 놀랐다고, 이렇게 필사적인 캐릭터인 줄 몰랐다고 하더군요.”

촬영 직전까지 주인공의 집 세팅에 의견을 내고, 편집 지점을 고려해 연기하는 것도 그에겐 몸에 밴 작업 방식이다. “어려서부터 프라모델 조립을 좋아해” 공대에 진학했고, 지금도 목공을 즐기는 그다. “영화를 만들 때도 다 같이 재밌는 장난감을 조립하는 느낌”이라 했다.

"흥행 홈런타자 목표…직접 쓴 판타지 액션 제작 준비"

“흥행 타율이 번트(야구 타격 기술)라도 대고 나갈 때도 있고, 1루타 칠 때도 있지만, 좀 더 홈런타자가 되고 싶어 벌크업 중”이라는 그에게 ‘설계자’는 연기 성장을 느낀 작품. “‘마스터’(2016) 때만 해도 저랑 안 어울리는 캐릭터란 걸 알고 출연했죠. 평소 그렇게 안 해선지 아랫사람한테 지시하는 ‘어른 같은’ 연기가 힘들었는데 ‘설계자’에선 극복했죠. 한뼘 성장했다고 느꼈습니다.”

“‘조커’ 같은 진짜 미친 악역 연기도 해보고 싶다”는 그는 제작자로서 활동도 준비 중이다. 최근 그가 직접 쓴 판타지 액션 영화 시놉시스를 각본가와 함께 장편영화로 개발해 내년께 촬영을 목표로 하고 있다. “요즘은 우리가 생각하던 영화, 극장에 간다는 개념 자체가 바뀌고 있잖아요. 결국 좋은 콘텐트를 만드는 방법밖에 없다는 생각이 듭니다.”

관련기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