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12 총소리에 뒷담 넘었다…쿠데타에 3번 숨은 국방장관

  • 카드 발행 일시2024.05.07

<제2부> 한남동의 총소리

4회. 12·12는 5·16의 데자뷔

12·12가 성공할 수 있었던 결정적 원인은 군 수뇌부가 우유부단했기 때문이었다. 최고책임자인 국방장관의 행적을 추적해 보면 특히 그렇다. 마치 1979년 12·12가 1961년 5·16 같다. 그러나 이런 데자뷔 현상은 개인 차원의 문제는 아니었다.

‘쿠데타’ 제보 무시한 국방장관

1979년 2월 노재현 국방장관(왼쪽)이 신임 정승화 육군참모총장 취임식에서 부대기를 전달하고 있다. 이 무렵 노재현은 당시 전두환 1사단장을 보안사령관으로 추천했다. 중앙포토

1979년 2월 노재현 국방장관(왼쪽)이 신임 정승화 육군참모총장 취임식에서 부대기를 전달하고 있다. 이 무렵 노재현은 당시 전두환 1사단장을 보안사령관으로 추천했다. 중앙포토

노재현 국방부 장관은 12·12 몇 주 전인 11월 말 ‘전두환 중심의 쿠데타 음모’에 대한 제보를 받았다. 제보자는 미8군 사령관 위컴 대장이었다.
위컴은 이형근 전 육군참모총장으로부터 얘기를 들었다. 이형근은 군번 ‘1번’(최초의 한국군)으로 유명한 원로다. 위컴은 노재현 국방장관 외에 류병현 연합사 부사령관과 문홍구 합참본부장에게도 제보했다.

그런데 노재현 장관은 쿠데타설을 깔아뭉갰다. 문홍구는 쿠데타설을 듣고 노재현을 찾아갔다. 노재현은 “나도 전두환 장군을 불러 알아보았는데, 그런 일 절대 없을 것이니 안심해”라고 말했다. 정승화 참모총장도 이런 첩보를 받았다. 그러나 그 역시 무시했다. 정승화는 “계엄사령관을 상대로 설마 그런 변란을 일으킬 수 있으랴”는 생각에 별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노재현 장관은 원래 전두환과 가까웠다. 전두환이 육군참모총장 수석부관으로 근무하던 1969년 당시 노재현은 육군참모차장으로 가깝게 지냈다. 전두환을 보안사령관으로 추천한 사람도 노재현이다. 그러나 노재현은 정승화 체포에 반대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노재현은 전두환의 모의를 무산시키기 위한 적극적인 행동을 하지 않았다. 오히려 노재현은 전두환 세력의 움직임을 의심하는 제보자들에게 ‘그럴 리 없다’고 부인함으로써 전두환의 모의를 감싸준 셈이다.

5·16 당시 장도영 참모총장 닮은 꼴

1961년 5월 20일 계엄사무소 앞의 장도영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 겸 내각 수반(왼쪽)과 박정희 최고회의 부의장. 박정희의 추대로 권좌에 올랐던 장도영은 44일 후 반혁명 혐의로 쫓겨나 미국 유학을 떠났다. 중앙포토

1961년 5월 20일 계엄사무소 앞의 장도영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 겸 내각 수반(왼쪽)과 박정희 최고회의 부의장. 박정희의 추대로 권좌에 올랐던 장도영은 44일 후 반혁명 혐의로 쫓겨나 미국 유학을 떠났다. 중앙포토

그런 점에서 노재현은 1961년 5·16 당시 장도영 육군참모총장을 닮았다. 장도영은 박정희 소장으로부터 쿠데타 계획을 미리 상세히 보고받았다. 박정희는 장도영을 ‘혁명의 지도자’로 모시고자 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