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JoongAng Plus 전용 콘텐트입니다.

오디오를 듣고 싶다면
지금 바로 시작하기

점심은 편의점 도시락 먹고, 후식은 ‘백화점 빵’ 사는 이유

  • 카드 발행 일시2024.04.22

“여보 우리 애 학원 줄일까?”…고물가에 교육비까지 졸라맨다
직장인 점심값 1만원 시대…소비 줄이려 도시락 싼다
“너무 비싸” 과일선물 실종지갑 닫힌 대목, 소상공인 한숨

고물가에 불황이 이어지면서 이런 기사 제목, 지겹도록 보셨을 겁니다. ‘짠테크’ 열풍에 한 푼도 쓰지 않는 ‘무지출 챌린지’가 등장했고, 항목별로 쓸 돈을 분류해 넣어 다니는 ‘현금 바인더’도 인기입니다. 사라지는 것 같았던 지하철역 ‘1000원 빵집’도 다시 늘고 있다죠.

이런 불황 속에서도 한쪽에선 치열한 오픈런, 끝없는 웨이팅, 피 튀기는 티케팅이 펼쳐집니다. 소비자의 지갑을 열게 하는 전략은 무엇일까요? 남다른 호황 뒤엔 어떤 소비 심리와 패턴이 숨어 있을까요?

그래서 준비했습니다. 15년 넘게 우리나라 산업 트렌드를 조망해온 책 『트렌드 코리아』의 공저자인 소비트렌드분석센터 전미영 연구위원과 파헤쳐봤습니다. 2024년 불황의 터널을 지나는 대한민국, 하지만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와는 또 다른 트렌드가 보인다고 합니다. 또 저출생·고령화가 가속화되면서 기업들은 목숨 걸고 ‘이것’을 하고 있다는데요.

전 위원과 함께 ①불황기를 지나는 사람들에게 보이는 심리적 현상 세 가지를 짚어보고, ②돈의 가치를 높이려는 소비 행태와 이런 특성을 공략한 실제 사례를 살펴봤습니다. 또 ③인구구조가 달라지면서 시장이 어떻게 움직이는지도 분석했습니다. 직접 들어보시죠.

📌팟캐스트 방송 순서📌

1. 💸불황에 ‘테무깡’까지...그런데 2008년 금융위기 때와는 다르다? (01:40)
2. 🧁요즘 드라마엔 000 없다…디저트 유행도 ‘불황 시그널’ (05:00)
3. 🏨“최저가 아닙니다” 이런 호텔 예약 플랫폼이 통하는 이유 (11:20)
4. 👼아이 줄어들자 우유·학습지 업계 이런 사업까지? (14:35)
5. 👑그래도 ‘펜디 유모차’는 팔린다(feat. 공유 경제) (16:40)

 ※ 방송 전문 스크립트도 제공합니다.

🎤진행 : 이지상, 최하은 기자
🎤답변 : 전미영 소비트렌드분석센터 연구위원
🎤기획·편집: 이지상, 최하은 기자

▷이지상〉 벌써 4월이지만 한 치 앞을 예상할 수 없는 2024년입니다. 본격적인 엔데믹(endemic) 경제가 시작되면서 앞날은 더 불투명해졌는데요. 지금은 짧은 유행을 섣불리 예측하는 게 아니라 사회 근간이 어떻게 바뀌고 있는지 살펴봐야 하는 시기가 아닐까 합니다.

▷최하은〉그래서 준비했습니다. 오늘은 15년 넘게 대한민국 산업 트렌드를 조망하는 책이죠. 『트렌드 코리아』 공저자 전미영 박사님 모셔서 대한민국 소비산업 트렌드에 대한 이야기를 나눠보려 합니다.

N, , N

점심은 편의점 도시락 먹고, 후식은 ‘백화점 빵’ 사는 이유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중앙 플러스  에서...
지금 바로 시작하기

보유하신 이용권이 있으신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