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오늘부터 호국훈련 돌입…이종섭 “북한 도발 땐 단호 대응”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2면

북한이 최근 한·미의 각종 연합훈련에 책임을 돌리며 자신들의 군사행동에 명분을 쌓고 있다. 무력도발 전후로 외무성·총참모부 등을 통해 입장을 발표하고 이를 근거로 무력도발의 정당성을 주장하는 패턴을 반복한다.

윤석열 정부가 북한 무력도발에 대해 ‘압도적 대응’ 방침을 천명한 만큼 ‘강대강 정면승부’ 기조를 이어가는 북한의 도발 명분 쌓기는 당분간 계속될 전망이다.

북한의 군사작전을 총괄하는 북한군 총참모부는 지난 15일 대변인 발표를 통해 “14일 오전 9시 45분경 아군 5군단 전방지역인 남측 강원도 철원군 일대에서 적들의 포사격 정황이 포착됐다”면서 “동부 및 서부 전선 부대들이 대응 조치의 일환으로 동·서해상으로 방사포 경고 사격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총참모부 대변인은 전날에도 “우리는 남조선 군부가 전선지역에서 감행한 도발적 행동을 엄중시하면서 강력한 대응 군사행동 조치를 취했다”고 주장했다. 남측이 먼저 ‘9·19 군사합의’를 위반했고 자신들도 이에 대한 대응 차원에서 포병 사격을 했다는 주장이다.

남북 9·19 군사합의를 의도적으로 넘나드는 북한의 도발은 당분간 계속될 전망이다. 군은 17~28일 미군 전력이 일부 참가하는 연례 야외 기동훈련인 호국훈련을 한다. 이종섭 국방부 장관은 휴일인 16일 오후 합동참모본부 전투통제실을 찾아 “최근 북한이 9·19 군사합의에 대한 노골적인 위반 행위를 서슴지 않는 것은 치밀하게 계획된 도발이자, 의도된 일련의 도발 시나리오의 시작일 수 있다”면서 “작전현장의 지휘관과 장병들이 북한의 성동격서(聲東擊西)식의 직접적 도발이 발생할 경우 추호의 망설임 없이 자위권 차원의 단호한 초기대응을 시행하는 현장 작전종결태세를 갖출 것”을 주문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