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 "핵무기는 국가존립 위기 때만 사용…우크라 작전 계획대로"

중앙일보

입력

20일(현지시간) 위성사진 서비스 '플래닛 랩스'가 공개한 우크라이나 남부 마리우폴의 모습. 주거용 건물들이 러시아군의 공습으로 불에 타고 있다. AP=뉴시스

20일(현지시간) 위성사진 서비스 '플래닛 랩스'가 공개한 우크라이나 남부 마리우폴의 모습. 주거용 건물들이 러시아군의 공습으로 불에 타고 있다. AP=뉴시스

우크라이나를 침공 중인 러시아가 핵무기를 사용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 데 대해 22일(현지시간) "국가 존립이 위험에 처했을 때만 핵무기를 사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궁 대변인은 이날 미국 CNN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군사작전에서 핵무기를 사용할 수 있다는 관측이 서방에서 제기되는 것과 관련 "러시아는 국가의 존립이 위기에 처했을 때만 핵무기를 사용하도록 규정하고 있다"고 항변했다.

페스코프 대변인은 러시아군의 우크라이나 군사작전 진행 상황과 관련 "작전은 철저히 사전에 설정된 계획과 과제에 따라 이루어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러시아군의 우크라이나 작전이 예상보다 크게 길어지고 있다는 지적을 의식한 듯 "처음부터 누구도 작전이 이틀 정도 걸리리라 생각하지 않았다. 이는 심각한 목표를 가진 심각한 작전"이라고 덧붙였다.

페스코프 대변인은 러시아군의 집중적 포위 작전이 벌어지고 있는 우크라이나 남부 마리우폴 전황과 관련 "러시아군 활동의 주요 목표는 이 도시에서 (우크라이나) 민족주의자 부대들을 제거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또 우크라이나 점령이 러시아군 군사작전의 목적이 아니라고 거듭 강조했다.

한편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은 이날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과 전화 통화를 하고 우크라이나 주변 상황에 대해 견해를 교환했다고 크렘린궁이 밝혔다. 크렘린궁은 특히 두 정상이 현재 진행 중인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대표단 간 협상 과정에 대해 의견을 나누었다고 전했다.

이 기사 어때요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