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바루기] 앙꼬(?) 없는 찐빵은 싫어요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4면

가을인가 싶더니 어느덧 찬바람이 거세게 불어오고 눈이 내린 곳도 있다고 한다. 이런 계절에는 손을 호호 불어 가며 먹는 따뜻한 찐빵이 절로 생각난다. 찐빵 속에는 달콤한 팥이 들어 있는데 팥과 빵의 조화에서 오는 맛이 일품이다. 만약 이런 찐빵에서 팥이 빠진다면 찐빵 고유의 맛을 살려내지 못할 것 같다.

그래서 어떤 일이나 생각 등에서 중요한 것이 빠졌을 때 ‘앙꼬 없는 찐빵’이라는 관용구를 쓴다. 이 말을 자주 사용하다 보니 ‘앙꼬’를 순우리말로 알고 있는 이가 꽤 많다. 그러나 ‘앙꼬’는 일본어 ‘餡子(あんこ)’에서 온 말이다. 따라서 우리말인 ‘팥소’로 바꾸어 쓰는 것이 바람직하다.

‘팥소’는 떡이나 빵 등의 속으로 넣는, 팥을 삶아서 으깨거나 갈아서 만든 것을 의미하는 단어다. 하지만 ‘팥소’라는 낱말이 조금은 낯설다 보니 ‘앙꼬’라는 말을 쓰게 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소’는 송편이나 만두 등을 만들 때 맛을 내기 위해 익히기 전에 속에 넣는 재료를 뜻한다. ‘소’는 팥 외에도 여러 가지가 있다. 송편에는 콩·깨·밤 등을 소로 사용하기도 한다. 만두에는 고기·두부·채소 등을 소로 쓰기도 한다. 만두에 넣는 재료를 ‘만두소’, 김치에 넣는 재료를 ‘김치소’라 고 한다.

‘앙꼬 없는 찐빵’ 대신 ‘팥소 없는 찐빵’이라고 하면 말맛이 살아나지 않는다고 하는 사람이 있을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자주 쓰다 보면 익숙해진다. ‘앙꼬’가 일본말이라는 것을 생각하면 ‘팥소’로 써야 할 동기가 생긴다. 올겨울부터는 ‘앙꼬 없는 찐빵’이 아니라 ‘팥소 없는 찐빵’이라고 해보면 어떨까.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