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실보상 사각지대 숙박업·결혼식장, 정부서 대출 확대 검토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소상공인 손실보상제 사각지대에 있는 업계의 불만이 커지자 정부가 추가 지원을 검토하고 있다. 손실보상제 사각지대에 있는 자영업자들은 영업 금지·제한이 아닌 ▶면적당 인원 ▶수용 인원 ▶시설 일부 사용 ▶사적 모임 등에서 일부 제한이 있었던 업종이다. 시설 면적 4㎡당 1명씩 입장, 좌석 두 칸 띄어 앉기, 시설 내 음식 섭취 금지 같은 규정을 따라야 해 매출 피해가 큰 편이었다. 숙박업소와 결혼식장, 장례식장, 공연장, 미술관, 박물관, 키즈카페 등이 대표적이다. 피해가 컸던 여행·관광 업종도 마찬가지다.

이에 따라 정부는 추가 지원 대책을 내부에서 논의하고 있다. 앞서 지난달 26일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기재부 확대 간부회의에서 “소상공인 손실 보상 비대상 업종에 대한 맞춤형 대책을 마련해 다음 달 시행하라”고 지시하기도 했다.

현재 정부는 손실보상 제외 업종에 대한 소비쿠폰 예산을 늘리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제외 업종을 대상으로 한 저금리 대출도 확대하기로 했다. 어떤 방식으로 대출을 지원할지 세부 방향을 논의하는 단계다. 다음 달 시행하는 ‘위드 코로나’(단계적 일상 회복)에 맞춰 여행·숙박 할인·지원 행사를 펼치는 방안도 검토되고 있다.

대신 정부는 현금 직접지원엔 선을 긋고 있다. 영업 금지·제한 업종만 지원하기로 한 손실보상제 입법 취지와 충돌한다는 이유에서다.

손실보상 제외 업종에 대한 지원은 올 연말보다는 내년에 본격화할 전망이다. 11월과 12월 남은 예산이 한정적이라 내년 예산에 추가로 반영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당정 모두 손실보상 제외 업종에 대한 예산 확대엔 긍정적인 반응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