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시조지상백일장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1면

시에 있어 아름답다, 또는 감동적이다라고 하는 것은 무엇을 두고 하는 말일까. 흔히 시조에 나타나는 달빛·강물·바람·꽃·향수등의 소재만이 우리의 것이요, 민족정서라고 생각한다면 이땅 오늘의 현실에서 시조가 지녀야할 감동의 폭은 너무 좁고 얕은 것이 될 것이다.
오늘의 시조에 있어서 잘쓴 시조는 있되, 왜 감동을 주는 시조는 드문 것일까. 바로 그것은 아직도 대부분의 시조가 낡은 정서의 반복이 가져다주는 비현실적인 감성을 토대로 쓰여지고 있기 때문이다.
훌륭한 시는 진실의 표현일뿐만 아니라 그것의 확충이며, 새로운 경험세계로의 끝없는 탐색을 의미한다. 이땅의 현실에서 빈번히 일어나고 있는 갈등·저항·노동등의 소재가 왜 유독 시조에는 없는 것일까 하는 또 하나의 의문을 남기며 새로운 선자로서 그 의미를 찾고자 한다.
장원으로 뽑힌 김강호씨의 『봄그림 석점』은 유창하게 봄정경을 채색하고있다. 시에 있어서의 회화성 문제를 구태여 이야기하지 않아도 되리만큼 탁월한 이미지가 단연 돋보였다. 둘째 수와 셋째수의 종장은 앞으로 작자에게 기대를 갖게하는 가창이라고 할만하다.
차상의 한소리씨 작품은 완벽한 구성력을 지니고 있으나 군데군데 진부한 표현들이 감동을 떨어뜨리고 있다. 차하 김군씨 작품의 경우 첫수 종장, 둘째수 중장은 매우 돋보이는 감각을 지녔음에도 발상과 균형면에서 평자를 아쉽게 했다.
그밖에 입선작으로 뽑힌 『여심』과 『사모곡』은 소품이긴 하나 깔끔한 언어로 단수기능을 잘 살렸으며 『정원』은 작자의 능력을 기대케 했다. 그리고 『마라도』는 단수로서 압축의 묘를 살리는데 아쉬움을 남겼다.

<심사위원:김원각·유재영>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