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살 체육부 "걸음마 행정"|올림픽 이후 뚜렷한 정책 없이 "표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5면

20일 창설 8주년을 맞이한 체육부는 올림픽 개최 후의 국민 체육 선진화를 위한 새로운 출발점에 서있으나 각종 난제가 산적, 체육계에 생소한 신임 장·차관의 부임으로 시급한 현안을 어떻게 타개해나갈지 비상한 관심을 끌고 있다.
서울 올림픽과 서울 아시안게임을 성공적으로 치르기 위해 한시적 성격으로 발족했던 체육부는 양대 국제 스포츠 체전의 성공적 개최와 북방외교의 첨병으로 그 성과를 크게 높여왔다.
체육부는 신장된 국력을 바탕으로 스포츠 외교를 전개, 동구권 국가들과는 거의 스포츠 교류 협정을 체결해 헝가리 등 일부 국가와 수교의 발판을 마련하는 향도 역할을 하기도 했다.
그러나 엘리트 스포츠에 치중해오던 체육부는 올림픽 이후 엘리트 스포츠와 생활 체육의 적절한 조화에 관해 딜레마에 빠져있는 등 아직 확실한 정책 방향을 잡지 못하고 있는 불안정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와 함께 그간 산하 기관인 체육회 및 체육 진흥 공단과 일부 불협화음을 보였던 체육부는 명실공히 체육 행정의 총 본산으로서 리더심의 확립이 절실한 과제가 되고있다.
게다가 신임 장관과 차관까지 철저히 정무적 성격의 인사로 결말이 나고 이에 따른 인사 적체로 체육부의 사기가 크게 떨어져 있어 앞으로 적극적이고 효율적 정책 개발을 기대하는 체육계의 시각은 매우 회의적이다.
또 청소년 업무의 흡수와 생활 체육 강화와 관련한 조직 개편에 따른 잦은 인사로 실무진의 업무 태세가 방향을 찾지 못한 채 표류하고 있으며 생활 체육의 업무 조정 과정에서 학교 체육과가 아예 폐지되는 등 체제가 계속 풍랑에 휩싸이고 있는 형국이다.
특히 올 들어 생활 체육의 개발과 진흥에 역점을 두고있는 체육부는 최근 호돌이 계획이란 대규모의 생활 체육 진흥 종합 계획을 마련했으나 경제기획원 등 유관 기관과의 협조 부족으로 초기부터 재원 마련의 전망이 불투명한 가운데 탁상공론이 될 우려마저 있는 등 산적한 업무 수행에 많은 장애가 예상되고 있다.
이밖에 체육회 산하 가맹 단체들의 재정 지원을 위해 출범한 진흥 공단의 각종 수익 사업이 1년이 지나도록 실효를 거두지 못한 채 표류하고 있어 체육부의 적극적인 행정 지원과 과감한 시책이 절실한 실정이다.
당장 6개월 앞으로 다가온 북 경아시안게임과 중단된 남북 체육 회담 등 남북 체육 교류 문제도 발등의 불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