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내생각은

미국산 수입쌀 검사 철저히 해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9면

농림부에서는 문제의 쌀은 '긴 장립종'이며, 우리가 수입하는 캘리포니아산 '중립용' 칼로스와는 다르다고 밝혔다. 반면 일본 정부는 미국산 '장립종' 쌀의 수입을 전면 금지하고, 수입한 물량에 대해선 가공이나 판매를 중지시켰다. 우리와는 대조적이다. 칼로스 쌀에는 유전자 변형 물질이 포함되지 않았다는 증명서가 붙어 있지만 안심할 수 없다. 이번에 유전자 변형 물질이 발견된 쌀도 그동안 안전하다고 여겨져 왔다. 유전자 변형 물질이 얼마나 유해한지에 대해선 논란이 많지만 먹을거리만큼은 철저하게 안전성을 따져야 한다.

농림부는 2006년분 쌀 의무수입 물량 가운데 나머지 3만t의 국내 반입 시기를 내년 1월 이후로 미룬다고 밝혔다. 그러나 문제의 미국 쌀에 대해선 미국 농무부의 경위 조사를 지켜 보는 데서 그쳐선 안 된다. 우리도 자체 검사해 안전하다고 판명될 때까지 보관 물량의 유통을 금지해야 한다. 수입물 입찰 유예도 적극 고려해야 한다. 국민 건강을 최우선으로 하는 일본처럼 이제는 안전한 먹을거리를 제공하겠다는 정부의 의지와 신뢰를 국민에게 보여줘야 한다.

우리 국민도 우리 쌀을 애용해야 한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국민 한 사람이 소비한 쌀은 80.7㎏으로 하루 221.2g에 불과하다. 쌀 소비량이 감소하는 데다 수입 쌀까지 겹쳐 농가의 수익은 갈수록 줄고 있다. 그 결과 올해 벼 재배면적(95만5229ha)도 지난해보다 2.5% 줄었다. 다른 작물로 전환하는 농가가 늘고, 논이 도로.공공시설.유휴지 등으로 바뀌고 있기 때문이다. 일본의 경우 멸종하는 야생식물.포유동물이 늘고 있다. 농지가 사라졌기 때문이다. 농지에서 쌀 농사로 얻는 수익도 중요하지만 농지 보전은 식량.환경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는 유일한 대책임을 일본의 사례에서 배워야 한다.

최성욱 농협중앙회 구례교육원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