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업계 최초 차세대 인터페이스 D램 개발

중앙일보

입력

삼성전자가 업계 최초로 차세대 인터페이스 ‘컴퓨트 익스프레스 링크(CXL)’ 기반의 D램 메모리 기술을 개발했다. CXL은 고성능 컴퓨팅 시스템에서 중앙처리장치(CPU)와 함께 사용되는 가속기ㆍ메모리ㆍ저장장치 등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마련된 차세대 인터페이스다. CXL을 활용하면 기존 컴퓨팅 시스템 메모리 용량의 물리적 한계를 넘어 D램 용량을 획기적으로 확장할 수 있게 된다.

삼성전자는 11일 업계 최초로 CXL 기반 D램 메모리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사진 삼성전자]

삼성전자는 11일 업계 최초로 CXL 기반 D램 메모리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사진 삼성전자]

인텔 플랫폼서 검증 “차세대 리더십 확보” 

삼성전자가 이번에 개발한 CXL 기반 D램 메모리는 인텔 플랫폼에서 검증을 마쳤다. 회사 측은 “인공지능과 머신러닝, 빅데이터 등 데이터센터의 성능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대용량ㆍ고대역 D램 기술 개발을 통해 차세대 반도체 기술 리더십을 확보했다”며 “글로벌 주요 데이터센터, 클라우드 업체들과 협력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고 강조했다.

최근 인공지능과 빅데이터의 활용 분야가 늘어나면서 처리해야 하는 데이터의 양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기존 인터페이스로는 D램 용량의 제약을 받는 한계가 있었다. CXL은 고성능 컴퓨팅 시스템에서 기존 컴퓨팅 시스템의 메모리 용량의 물리적 한계를 극복하고 D램의 용량을 획기적으로 확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삼성전자가 개발한 CXL D램은 기존 시스템의 메인 D램과 공존이 가능하면서도 시스템의 메모리 용량을 테라바이트급까지 확장할 수 있다. 이번에 선보인 CXL D램 컨트롤러는 컴퓨팅 시스템이 기존의 인터페이스와 새로 개발한 인터페이스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메모리 맵핑’과 ‘인터페이스 컨버팅’, ‘에러 관리’ 등을 지원한다.

박철민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 상품기획팀 상무는 “삼성전자의 CXL D램 기술은 차세대 컴퓨팅, 대용량 데이터센터, 인공지능 등 미래 첨단분야에서 핵심 메모리 솔루션 역할을 할 것”이라며 “스마트 데이터센터가 요구하는 차세대 기술을 선도하고 CXL 생태계가 빠르게 확장될 수 있도록 글로벌 기업들과 협력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김경진 기자 kjink@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