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산 신약 `이름값` 못한다

중앙일보

입력

스포트라이트를 한몸에 받으며 출시됐던 대부분의 국산 신약들이 '신약'이라는 이름값을 제대로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애초 기대한 만큼의 매출실적을 올리지 못하는 것이다.

18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국내 개발 신약의 연도별 건강보험 전자문서교환(EDI)방식 약품비 청구현황'에 따르면 2004년 기준 국내 개발 신약은 9개 품목이다.

이들 국산 신약의 청구금액은 2004년 집계 결과, 모두 합쳐서 288억8천100만원에 불과했다.

동아제약의 '스티렌캅셀'이 155억9천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SK케미칼의 '조인스정200㎎'이 87억9천800만원으로 뒤를 이었고, 중외제약의 '큐록신정100㎎'이 23억3천500만원으로 세번째를 차지했다.

셀론텍의 '콘드론' 5억8천500만원, LG생명과학의 '팩티브정320㎎' 5억5천600만원, 종근당의 '캄토벨주' 2억9천200만원, 동화약품의 '밀리칸주' 2억8천200만원, SK케미칼의 '선플라주100㎎'과 '선플라주50㎎'은 2억6천300만원, 대웅제약의 '대웅이지에프외용액' 1억8천만원 등이었다.

이 같은 약품비 청구금액은 기대에 턱없이 못미치는 수준이다.

실제로 다국적 제약사 한국화이자의 대표적 처방약이라 할 수 있는 고혈압치료제 '노바스크'의 경우 2004년 1년간의 청구액이 2004년의 1천316억원으로, 국산 신약의 초라한 성적과는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다.

이처럼 국산 신약이 시장에 성공적으로 안착하지 못하는 이유에 대해 한 제약사 관계자는 "이미 비슷한 효능을 가진 다른 약들이 시장을 선점하고 있어 경쟁에서 밀리기 때문인 것 같다"고 분석했다.

여기에 국산 신약이 의료진들에게 믿음을 주지 못하고 외면받는 것도 고부가가치를 창출하지 못하는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