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명 중 4명 황사질환 경험

중앙일보

입력

봄철을 맞아 황사가 본격적으로 기승을 부리기 시 작한 가운데 우리나라 국민 10명중 4명이 황사때문에 각종 질환을 앓았고,100명당 13명꼴로 병원치료를 받았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반면 대다수의 주민들이 황사에 대해 잘못된 상식을 갖고 있는 것으로 조사돼 관계당국의 홍보와 교육 등 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12일 환경부에 따르면 권호장(權鎬長) 단국대 교수(예방의학과)가 서울 등 수도권 지역 성인남녀 500명을 상대로 황사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201명(40.2%)이 황사 때문에 기침과 눈병 등 각종 질환을 앓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조사대상자의 13%(질환자수 대비 33.8%)는 병원에서 적어도 한차례 이상 치료를 받았다고 응답, 황사피해가 심각한 것으로 파악됐다.

성별로는 여성 응답자의 47%가 황사때문에 질환을 경험한 적이 있다고 말해 남성(32%)보다 황사에 따른 질환에 노출될 가능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20대가 40%, 30대 39%, 40대 44%, 50대 42%, 60대 32% 등으로 각각 집계돼 노년층 뿐 아니라 중.장년, 청년층도 황사에 취약한 것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대부분의 응답자들은 황사에 대해 잘못된 상식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황사가 높은 농도의 중금속을 동반하고 있다는 응답자 비율은 무려 92.2%에 달했다.

또 황사가 감기바이러스(URI)이나 구제역 바이러스를 동반한다고 응답한 비율도 각각 79.8%, 64.8%로 조사됐으며 높은 농도의 오존을 포함하고 있다고 말한 사람도 조사 대상자의 68.8%에 달했다.

황사에는 미세먼지가 포함돼 가려움증이나 천식이나 눈병 등 호흡기나 안과질환 을 유발하지만 바이러스나 중금속은 포함돼 있지 않다.

환경부 관계자는 이와 관련, "황사에 대해 제대로 이해를 하고 있어야 효율적이 고 철저한 대비를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