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시의 진단 및 치료 방법

중앙일보

입력

이 세상에 아이의 눈망울처럼 맑고 귀여운 것이 있을까?
똘망 똘망한 아이의 눈을 바라보노라면 절로 웃음이 나오는 것이부모의 마음일 것이다.

성인의 경우도 눈은 대인관계에 있어 입보다 많은 말을 건네는"마음의 창"이다.그런데 원하지 않았던 사시로 "마음의 창"을굳게 닫아야만 한다면 심한 컴플렉스를 느끼지 않을 수 없다.

◇ 눈은 '마음의 창'

사시는 안구를 움직이는 근육의 불균형으로 안구가 정렬되지 못하고 한쪽 눈이 다른 곳을 응시하는 것을 말한다.

사시는 특히 조기 치료가 중요하다.이는 사시가 필연적으로 약시를 동반하므로 약시가 진행되기 전에 치료해야 하는 이유도 있지만 취학을 분기점으로 "사회화""인격 형성"과정에서 사시로 인한 심한 대인 컴플렉스가 생기기 때문이다.

사시는 대개 생후 6개월 정도면 발생 유무를 알 수 있다.

때문에 생후 6개월을 기점으로 선천내사시와 후천사시로분류한다.사시는 필연적으로 약시를 동반하게 되고 원근감,입체감등의 시기능에도 큰 장애를 가져오므로 아이가 2-3세일때 부모가 관심을 가지고 사시 여부를 관찰해야 한다.늦어도 취학에 앞선 6세 이전에는 치료해줘야 마음의 상처 없이 조기에 쉽게 시력과 시기능을 회복할 수 있다.

◇ 소아사시 자가진단법

"소아사시 자가진단법"으로는
첫째 아이가 자꾸 TV앞에 바짝다가가 보려한다.
둘째 눈을 자주 비비거나 깜박거린다.
셋째 고개를 자주 기울여 본다.
넷째 눈알이 떨리는 등 시선고정이 잘 안된다.
다섯째 밖에 나가면 눈부셔하며 눈을 감는다 등을 꼽을 수 있다.

한편 사시는 재발이 잦아 여러차례 수술하는 경우가 많았는데,최근 수술기술의 발달로 여러 단계로 해야 할 수술을 복합적으로계산해 한번에 할 수 있게 됐다.

특히 소아 사시의 경우는 한번 정도의 수술로 시력,시기능을 회복시킬 수 있으며 재발유도 극히 낮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